미국인 눈에 비친 한국 혼혈아의 아픔과 꿈

미국인 눈에 비친 한국 혼혈아의 아픔과 꿈

입력 2012-12-29 00:00
업데이트 2012-12-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태원 아이들】 데이비드 L 메스 지음 북멘토 펴냄

“조 윈터의 어머니는 창녀였다…그녀는 원한과 증오가 뒤범벅된 고통스러운 발작 속에 아이를 자궁 밖으로 쫓아 버리듯 쏟아내며 숨을 거뒀다. 행상인 한 무리는 흑인 혼혈 아기가 태어난 모습을 쳐다보더니 욕지기를 내뱉으며 하나둘 자리를 떴다.”(10쪽)

미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의 미군 기지촌과 혼혈아는 어떤 모습일까. 저명한 미국 극작가인 데이비드 L 메스는 그의 첫 소설 ‘이태원 아이들’(정미현 옮김·북멘토 펴냄)에서 이 같은 문제를 조심스럽게 조망한다. 외국인의 시선으로 접한 1960~1970년대의 한국을 만날 수 있는 ‘시간여행’이자 다문화 사회의 초입을 건넌 한국사회에 건네는 희망의 메시지다.

소설은 늘 그렇듯이 한국사회의 ‘이방인’이 된 한국인의 얘기를 다룬다. 1960년 서울의 어느 이름 모를 거리에서 태어난 여자아이에겐 ‘병석’이란 투박한 이름이 주어졌다. 미군 흑인 남성과 한국인 ‘양공주’ 사이에서 태어났지만, 부모의 얼굴을 알지 못한다. 어머니는 병석을 낳은 직후 숨을 거뒀고, 아버지는 한국을 떠난 뒤였다. 이 사람 손에서 저 사람 손으로 아무렇게나 옮겨지며 황량한 유년기를 보낸 아이는 구걸로 목숨을 부지한다. 거리 가판대의 푸근한 노점상 아저씨, 광화문 여관의 대학생 지배인 등을 만나며 보살핌 속에서 차츰 세상에 눈을 떠 간다. 병석의 인생 목표는 오직 한 가지, 바로 아버지가 있는 풍요로운 미국에 가는 것이다.

병석은 백인 혼혈 소녀인 미희와 ‘동병상련’의 우정을 쌓고, 다리를 저는 ‘절뚝이’의 도움을 받아 이태원에 삶의 터전을 다진다. 병석과 미희를 둘러싼 현실이 냉혹해질수록 주변 사람들의 모습은 더없이 따뜻하게 그려진다. 병석은 일본인 독지가의 도움을 받아 결국 미국 뉴욕으로 출발하고, 그곳에서 이름도 ‘조 윈터’로 바꾼다. 소설은 해피엔딩으로 마무리된다. 냉혹한 현실 곳곳에 끼어든 미담이 다소 현실감을 떨어뜨린다는 것이 ‘옥에 티’다.

3년간 자료 조사에 매달린 작가는 한국 전쟁 직후 변해 가던 서울의 거리를 사실적으로 담아 냈다. 그의 아내는 한국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성장한 미국인으로 소설의 ‘모티브’를 제공했다.

작가는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수많은 혼혈아와 인터뷰했고, ‘이태원’ ‘사창가’ ‘혼혈아’ ‘앵벌이’로 상징되는 한국사회의 치부를 고스란히 드러냈다. 아이들의 고통이 가장 응집된 시간과 공간은 1960~1970년대 서울 한복판의 이태원이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2-12-29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