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영역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 보여주고 싶어”

“소설의 영역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 보여주고 싶어”

입력 2013-07-17 00:00
업데이트 2013-07-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재소설 ‘정글만리’ 펴낸 조정래

“1990년에 ‘아리랑’을 쓰면서 만주에 취재를 갔었어요. 소련은 몰락했는데 왜 중국은 무너지지 않았는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때부터 중국을 무대로 소설을 써야겠다고 작정했어요. 그 사이에 중국은 전 세계가 깜짝 놀랄 만큼 빠른 속도로 경제발전을 이룩했습니다. 저는 죽고 없겠지만 앞으로의 30년이 우리에게 굉장히 중요한 국면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조정래 작가의 신작 ‘정글만리’는 한국인 남성과 중국인 여성이 사랑의 결실을 거두면서 끝을 맺는다. 작가는 “한·중 관계도 작품 속 남녀처럼 대등한 관계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조정래 작가의 신작 ‘정글만리’는 한국인 남성과 중국인 여성이 사랑의 결실을 거두면서 끝을 맺는다. 작가는 “한·중 관계도 작품 속 남녀처럼 대등한 관계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태백산맥’과 ‘아리랑’의 소설가 조정래(70)가 신작 ‘정글만리’(해냄)를 발표했다. 16일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출판 간담회를 가진 그는 “진실을 진실이라고 말하지 못하는 답답함을 극복하기 위해 ‘태백산맥’을 썼다”면서 “그때와 똑같은 사명감을 가지고 오늘의 할 일은 무엇인가를 고민하면서 책을 썼다”고 밝혔다.

‘정글만리’는 중국을 무대로 펼쳐지는 비즈니스맨들의 이야기다. 힘 있는 중국인 관료 샹신원을 등에 업은 종합상사 부장 전대광과 철강회사 직원 김현곤, 건설회사의 젊은 여회장 왕링링의 야심과 욕망이 복잡하게 뒤얽힌다. 여기에 의료 사고로 쫓기듯 한국 땅을 떠난 성형외과 의사 서하원과 베이징대에서 경영학을 공부하다 역사학으로 전공을 바꾼 전대광의 조카 송재형의 이야기가 맞물리면서 소설은 중국이라는 정글 속으로 성큼성큼 들어간다.

작가는 “분단 상황에서 작가들의 의식이 휴전선에 국한돼 있지만, 중국을 무대로 함으로써 우리 소설도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작품이 집중적으로 다루는 것은 돈이다. 작가는 “인간들이 돈을 향하여 얼마나 야만성을 가지고 싸우며 돈 앞에서 얼마나 인정사정 없이 안면몰수하느냐”면서 “이런 치열한 생존경쟁의 정글이 지금의 중국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을 상징하는 만리장성에서 ‘만리’를 따와 ‘정글만리’라는 제목을 붙였다.

정글만리는 여러 인물들의 시점을 번갈아 제시하면서 중국의 다양한 모습을 한 꺼풀씩 벗겨 나간다. 중국에서 사업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꽌시’(關係·연줄이나 뒷배, 네트워크 정도의 뜻)는 물론이고 경제발전에 이은 부동산과 자동차 붐, 성형에 대한 높은 관심, 영토 문제 등 중국의 문화·경제·정치적 현안을 포괄적으로 제시한다. 꼼꼼한 취재를 위해 작가는 2년 동안 중국을 8번 방문했다.

이번 작품은 지난 3월부터 3개월간 네이버에 연재되면서 100만회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하는 등 화제를 모았다. 자신을 “지금도 원고지에 소설을 쓰는 원시인 ‘컴맹’”이라고 밝힌 작가는 “미국과 중국에서 독자들의 반응이 오는 걸 보고 최첨단 과학기술의 지배력이 얼마나 엄청난가, 글로벌이라는 게 무슨 뜻인가 절실히 깨달았다”면서 “작품을 전파하는 또 하나의 좋은 수단과 함께 수많은 기능 때문에 오히려 소설 읽기를 어렵게 하는 방해꾼도 생겼다는 걸 알게 됐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10년 동안 장편 4편과 단편집 1권, 산문집 1권을 쓸 계획이라는 작가는 후배들에 대한 조언도 잊지 않았다. “후배들이 소설을 보내주면 고마운 마음으로 읽어 보지만 10페이지 이상 넘기지 못해요. 어떻게 장편소설의 주인공이 모두 ‘나’ 입니까. 자꾸 ‘나’, ‘나’, ‘나’ 하니까 개성이 없어지고 스토리텔링도 흔들려요. 소설이 사적인 이야기로 흘러가고 왜소해집니다. 객관적인 3인칭 소설을 쓰지 못하면 한국소설은 지금의 위기를 극복할 수 없어요.”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07-17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