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일의 어린이 책] 누가 뭐래도 멋진 나는야 콧구멍 왕자!

[이 주일의 어린이 책] 누가 뭐래도 멋진 나는야 콧구멍 왕자!

입력 2014-08-16 00:00
업데이트 2014-08-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콧구멍 왕자/김회경 지음/박정섭 그림/사계절/120쪽/9000원
이미지 확대


작고 아름다운 나라 두랑스텐에 귀한 왕자가 태어났다. 아기가 세상에 나온 첫날 왕비의 입에서 터져 나온 건 행복한 탄성이 아니라 벼락같은 비명. 아기의 콧구멍이 보일락 말락, 바늘구멍만 한 것이다.

왕비의 엄금에도 왕자의 콧구멍 이야기는 궁 밖으로 술술 퍼져 나간다. 왕자에겐 어느새 별명도 따라붙는다. 개미 머리도 못 들어가는 콧구멍이라고 ‘개미 왕자’라나. 의사들도 모두 고개를 가로젓는다. 신통하기로 소문난 ‘어때 할머니’만 왕자의 콧구멍이 지닌 비상한 능력을 알아채고 예언한다. “흙 속에 살면서 땅을 비옥하게 하는 지렁이처럼 사랑받는 왕이 될 것”이라고.

왕실 가족이 국민들에게 인사하는 달꽃 축제 날. 왕자가 흥에 젖어 콧구멍을 가린 모자를 벗어젖히자 왕비는 왕자를 궁궐 밖으로 쫓아낸다. 궁 밖에서 ‘개미 왕자’에 대한 사람들의 조롱과 편견이 얼마나 그악한지 체감한 왕자는 절망한다. 귀신이 나온다는 기절늪에서 밤새 울고 악을 쓰는 왕자의 앞에 귀신처럼 등장한 ‘말하는 두꺼비’. 두꺼비는 왕자에게 풀피리 하나를 건네고 콧구멍으로 쏙 들어가는 코 피리로 왕자는 생각지도 못한 마법을 일으킨다.

이제 왕자에게 콧구멍은 부끄러워할 대상이 아니라 자랑거리가 된다. ‘다름’을 ‘틀림’으로 규정하고 왜곡하는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 ‘다름’을 장점으로 받아들인 왕자에겐 이제 거칠 것이 없다. 작가는 재기 발랄한 문체로 타인의 가치에 옴짝달싹 못하는 어리석음은 거두고, 스스로의 가치에 눈을 뜨라고 아이들의 옆구리를 콕콕 찌른다. “콧구멍이 좁아도, 키가 작아도 괜찮아요. 누가 뭐래도 ‘흥, 내가 얼마나 멋진데!’ 하고 툭툭 털어 버리면 훨씬 행복해지지 않을까요?”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8-16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