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노벨문학상 모디아노 ‘그토록 순수한 녀석들’ 재출간

올 노벨문학상 모디아노 ‘그토록 순수한 녀석들’ 재출간

입력 2014-11-06 00:00
업데이트 2014-11-06 02: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잃어버린 사랑 찾아 헤매는 한 청춘의 순례기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프랑스 작가 파트리크 모디아노(69)의 ‘그토록 순수한 녀석들’(문학세계사)이 재출간됐다.

이미지 확대
1988년 ‘잃어버린 대학’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됐다 절판된 책이다. 한국문학번역원장을 지낸 진형준 홍익대 불문과 교수가 번역했다.

모디아노는 모든 작품에서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점령기를 배경으로 인간 존재의 근원과 정체성을 탐문했다. 이번 작품에서도 ‘시간이 멸(滅)해 버린 나보다 더 많은 나’를 찾아 나선다.

학창 시절 이름이 에드몽 클로드였던 작품 속 화자 ‘파트리크’는 과거 동창생들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며 그들의 근황을 추적한다. 행복한 날을 우울히 꿈꾸며 군에 입대하는 미셸, 다가갈 수 없는 바다에 미쳐 버린 맥 파울즈, 어른이 된다는 두려움에 떠는 데조토나 크리스티앙 포르티에, 마약 중독자가 된 샤렐 등 모든 사람들이 세월의 거친 파도를 이겨내지 못하고 좌초되고 말았다. 이들의 운명은 이미 학창시절에 정해져 있었다.

‘나는 발베르 학교가 우리 모두에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아무런 무기도 주지 않은 채 우리를 내버린 것이 아닌가 자문해 보았다’(259쪽)고 작품 속 문장은 설명한다. 세상의 파고를 헤쳐 나갈 아무런 무기도 없이 세월의 풍상에 내던져진 것이 그 원인이었다고 말이다.

이번 작품에도 다른 소설과 마찬가지로 자전적 요소가 짙게 배어 있다. 작품 속 ‘파트리크’는 작가의 분신이나 다름없다. 진형준 교수는 “세월 속에 잃어버린 사랑을 찾아 헤매는 한 사나이의 순례기”라며 “연민과 안타까움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는, 우울한 운명을 지닌 사람들, 역사라는 운명에 휘말려 희생당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하면서도 그들의 황폐해진 삶에 사랑의 온기를 불어넣고 있다”고 평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4-11-06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