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와 함께 숨 쉬는 공존의 파트너, 식물

우리와 함께 숨 쉬는 공존의 파트너, 식물

입력 2014-12-06 00:00
업데이트 2014-12-06 0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희망의 씨앗/제인 구달·게일 허드슨 지음/홍승효·장현주 옮김/사이언스북스/578쪽/1만 9500원

평생 침팬지를 연구하며 살아 ‘침팬지들의 대모’로 널리 알려진 제인 구달 박사. 그가 침팬지에 천착하기 시작한 계기는 놀랍게도 식물에 대한 사랑 때문이었다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의 어두운 그늘이 짙게 드리운 어린 시절 정원에 활짝 핀 꽃과 나무를 보며 평안을 얻곤 했다는 제인 구달이다.

이미지 확대
‘희망의 씨앗’은 그가 매달린 숙명의 영역인 침팬지에서 벗어나 식물을 이야기한 책으로 눈길을 끈다. 침팬지 세상에서 벗어났다지만 언제나처럼 ‘평화 사랑과 환경운동 전도사’로서의 생각을 식물로 옮겨 놓은 듯하다. 인간의 공감 영역을 다른 생명체의 정서적인 삶 속으로까지 확장시켰다는 그에 대한 평가가 무색하지 않다.

인간들에겐 그저 단순하고 동질감 느끼기 어려운 동물이었던 침팬지. 제인 구달은 그 침팬지를 인간 사회와 많이 닮은 친숙한 영장류로 인식하게 만든 것처럼 식물도 훨씬 더 복잡하고 흥미로운 생명체로 전환시킨다. 단순한 보호와 애호의 대상이 아니라 우리 역사와 사회에서 함께 숨 쉬는 공존의 파트너이자 미래의 희망으로 식물을 보게 한다.

이야기의 축은 어린 시절 생활했던 영국 본머스의 외할머니 댁 정원부터 9·11 세계무역센터까지 곳곳에서 보고 들은 식물들의 세계다. 오랜 주식인 쌀과 간식인 초콜릿처럼 주변 생활 속 식물에 얽힌 이런저런 이야기부터 열대우림이나 희귀 난초처럼 개발과 욕심 탓에 죽어 사라지는 식물까지 다양한 세계가 펼쳐진다. 물론 그 바탕의 감정은 애정과 교감이다.

세계적인 식물 연구가 마이클 폴란은 이 책을 읽고 이런 소감을 남겼다. “동물계의 일원으로서 ‘희망의 씨앗’을 읽는 일은 다른 여러 의미가 있겠지만 특히 사람을 겸손하게 만드는 경험이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4-12-06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