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책속 이미지] 그림 같은 사진, 그 따뜻한 시선

[그 책속 이미지] 그림 같은 사진, 그 따뜻한 시선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02-14 23:40
수정 2019-02-15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연과 사진가의 오랜 동행/최병관 지음/한울/375쪽/3만 6000원

이미지 확대
하늘색 굵은 줄 밑으로 분홍 선이 맞닿았다. 분홍 선은 다시 비스듬한 흰 면으로 이어진다. 무엇을 그린 그림일까 궁금증을 자아낸다. 그림 같은 이 사진은 사진작가 최병관이 2014년 찍은 강릉 어느 집 담벼락의 모습이다. 하늘색 플라스틱과 붉은색 플라스틱 벽체에 흰 눈이 쌓인 모습을 확대하고 조리개를 조절해 흐릿하게 만들었다. 사진 한 장일 뿐이지만, 여기에 숨겨진 이야기가 있다. 저자는 103년 만의 폭설이라는 소식을 듣고 사진을 찍으려 강릉으로 향했다. 산간 마을 고립된 집에 사시는 한 할머니가 걱정스러웠지만, 산처럼 쌓인 눈 때문에 안으로 들어갈 수 없었다. 결국, 비상금으로 숨겨둔 지폐 몇 장을 돌돌 말아 집 안으로 던져놓고 조심하시라 당부하고 길을 떠난다.

민간인 최초로 비무장지대를 촬영한 사진작가로 알려진 최병관의 사진집 ‘자연과 사진가의 오랜 동행’은 작가의 사진 철학을 담은 포토 에세이집이다. 최고의 피사체인 빛, 꽃, 하늘, 계절, 생명 등 오랫동안 교감한 자연의 모습 150여장을 담았다. 사진을 어떻게 찍었는지 알려주는 작업일기로 촬영 기술은 물론, 사진작가로서의 마음가짐도 배울 수 있다. 사진에 얽힌 이야기를 풀어낸 담백한 글이 특히 와 닿는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2-15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