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여러문자와 한글/정광 지음/지식산업사/420쪽/1만 8000원
나랏말싸미·맹가노니/이송원 지음/문예출판사/400쪽/1만 5000원
훈민정음 창제의 실질적 주역이 세종대왕이 아닌 승려 신미였다는 내용의 영화 ‘나랏말싸미’가 역사왜곡 논란에 휘말렸다. 국어학계와 역사학계의 분노가 가라앉지 않는 가운데 이 논란에 관해 설명한 신간 2권이 영화 개봉에 맞춰 출간돼 눈길을 끈다.
정광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가 쓴 ‘동아시아 여러 문자와 한글’은 2015년 저서 ‘한글의 발명’(김영사)을 내놓은 뒤 발표한 논문을 모은 책이다. 정 교수는 앞선 책에서 훈민정음이 한자의 음을 표기하는 ‘발음기호’로 창제됐고, 한글 창제에 불교계 학승들이 가장 큰 도움을 줬다고 주장해 논란을 불렀다. 그는 이번 책에서는 한발 나아가 “세종 25년(1443년) 제정한 훈민정음 27자 모두 자음이고, 여기에 신미가 인도 산스크리트 문자에 의거해 만든 모음 11자를 추가해 한글 28자를 완성했다”고 주장한다. 정 교수는 그 근거로 훈민정음 창제 다음 해인 1444년 집현전 학자 최만리가 올린 반대 상소에 세종이 호통을 친 ‘세종실록’(권 102호) 내용을 든다. 호통칠 당시 자음에 관한 이야기만 나온다는 설명이다. 정 교수는 세종이 속리산 복천암에 있던 신미를 부른 증거로 “1459년 만든 불서인 ‘월인석보’에 훈민정음 언해본을 첨부해 간행한 것”을 들었다.
영화는 세종이 아예 자음을 만들기 전 신미를 불러 한글 창제를 전적으로 맡긴 듯 묘사했다. 신간 ‘나랏말싸미·맹가노니’는 이 부분을 설명한다. 책은 영화 각본가 이송원이 시나리오를 신별로 구분해 역사 자료를 어떤 방식으로 참고하고, 극적인 요소를 위해 어떤 부분을 부각하고 생략했는지 담았다.
이 각본가는 ‘1441년 신미의 동생 김수온이 뒤늦게 집현전 학사가 된다’는 문종대의 기록과 신미의 동생 김수온이 쓴 ‘복천사기’를 근거로 세종과 신미가 1443년 이전에 만났다고 봤다. 이 각본가는 이와 관련, “1443년 임금이 언문 28자를 만들었다는 실록기사가 난데없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문자 창제에 관한 기록이 전무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이런 역사의 공백이 드라마를 짜는 이에게 부여하는 창작의 자유는 생각보다 크지 않다”면서 현 논란을 예상이라도 한 듯 책에 “위대한 성군 세종이 훈민정음 만든 사건을 터무니없는 판타지로 내놨을 때 날아들 역풍과 빈축을 생각하면 등골이 서늘해진다”고 썼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나랏말싸미·맹가노니/이송원 지음/문예출판사/400쪽/1만 5000원
정광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가 쓴 ‘동아시아 여러 문자와 한글’은 2015년 저서 ‘한글의 발명’(김영사)을 내놓은 뒤 발표한 논문을 모은 책이다. 정 교수는 앞선 책에서 훈민정음이 한자의 음을 표기하는 ‘발음기호’로 창제됐고, 한글 창제에 불교계 학승들이 가장 큰 도움을 줬다고 주장해 논란을 불렀다. 그는 이번 책에서는 한발 나아가 “세종 25년(1443년) 제정한 훈민정음 27자 모두 자음이고, 여기에 신미가 인도 산스크리트 문자에 의거해 만든 모음 11자를 추가해 한글 28자를 완성했다”고 주장한다. 정 교수는 그 근거로 훈민정음 창제 다음 해인 1444년 집현전 학자 최만리가 올린 반대 상소에 세종이 호통을 친 ‘세종실록’(권 102호) 내용을 든다. 호통칠 당시 자음에 관한 이야기만 나온다는 설명이다. 정 교수는 세종이 속리산 복천암에 있던 신미를 부른 증거로 “1459년 만든 불서인 ‘월인석보’에 훈민정음 언해본을 첨부해 간행한 것”을 들었다.
영화는 세종이 아예 자음을 만들기 전 신미를 불러 한글 창제를 전적으로 맡긴 듯 묘사했다. 신간 ‘나랏말싸미·맹가노니’는 이 부분을 설명한다. 책은 영화 각본가 이송원이 시나리오를 신별로 구분해 역사 자료를 어떤 방식으로 참고하고, 극적인 요소를 위해 어떤 부분을 부각하고 생략했는지 담았다.
이 각본가는 ‘1441년 신미의 동생 김수온이 뒤늦게 집현전 학사가 된다’는 문종대의 기록과 신미의 동생 김수온이 쓴 ‘복천사기’를 근거로 세종과 신미가 1443년 이전에 만났다고 봤다. 이 각본가는 이와 관련, “1443년 임금이 언문 28자를 만들었다는 실록기사가 난데없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문자 창제에 관한 기록이 전무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이런 역사의 공백이 드라마를 짜는 이에게 부여하는 창작의 자유는 생각보다 크지 않다”면서 현 논란을 예상이라도 한 듯 책에 “위대한 성군 세종이 훈민정음 만든 사건을 터무니없는 판타지로 내놨을 때 날아들 역풍과 빈축을 생각하면 등골이 서늘해진다”고 썼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8-02 3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