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포자의 시대/김성수·이형빈 지음/살림터/252쪽/1만 5000원
한 시민사회단체 조사에 따르면, 서울 11개 대학 입시에서 수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자연계열에서 30.3%, 전체 계열로 따질 때 28.9%나 됐다. 적성과 상관없이 수학을 잘하면 이과를, 못하면 문과를 간다는 건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신간 ‘수포자의 시대’는 수학을 포기한 학생들, 이른바 ‘수포자’ 연구로 수학이 어떻게 학생들을 힘들게 하고, 나아가 교육까지 망치는지 알려준다.
저자들은 수포자가 생기는 이유로 수학의 독특한 교육과정을 든다. 다른 교과목이 이전에 학습한 내용을 반복하면서 심화하는 ‘나선형’ 교육과정 구조인 반면, 수학은 ‘직선형·계단형’ 교육과정으로 돼 있다.
예컨대 중2 때 1차 방정식을 잘 이해하지 못하면 중3 때 2차 방정식에서 막히고, 고1이 됐을 때 고차 방정식을 풀 수 없다. 이를 극복하려면 이전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이게 사실 쉽지 않다. 교사는 진도 빼느라 바쁘고, 다른 과목 역시 공부해야 할 분량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초등학교 수포자 비율이 36.5%, 중학생 46.2%, 고교생 59.7%나 된다.
책은 1부에서 수포자 학생 15명을 심층 인터뷰했다. 초등학교 시절 밤 12시까지 수학 문제만 풀다가 울었다는 준서, 중학교 때 영문도 모른 채 곱셈 공식을 외우는 게 너무 싫었다는 희영, 수학 우열반 수업 하반에 편성돼 버려진 기분을 느꼈다는 지훈은 지난 우리의 모습이자, 지금도 별반 다를 바 없는 우리 아이들의 모습이다.
2부에서는 수포자를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사회, 학교, 교실의 구조를 다룬다. 저자들은 수포자가 우리 망가진 교육을 대변한다고 말한다. 우리 교육과 대입 시험은 학생들의 서열을 나누는 데 초점을 둔다. 수학은 학생들 간 격차가 가장 많이 나는 과목이자 가장 영향력이 크다. 이를 잘 알기에 부모들은 어려서부터 학생들을 수학 사교육으로 내몬다.
3부에서는 수포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입제도와 교육과정 개선, 그리고 학부모들의 실천을 이야기한다. 수포자 문제를 교육시스템 전체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올바른 대입제도를 만들려면, 우리 교육을 바로 잡으려면, 수포자 문제 해결은 최우선 과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12-06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