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개방개혁 이후 부단한 노력으로 중국은 미국과 어깨를 견주는 나라가 됐다. 그러나 국가 주도의 강력한 계획 경제 추진으로 옛 질서들은 와해됐고, ‘하나의 중국’ 정책에도 내부는 여전히 요동친다. 격변의 역사를 위인들의 서사로만 읽어내기엔 무리가 있다. 그래서 ‘민간중국´은 현대 중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조명해 중국의 속살을 캐낸다. 문화인류학자 13명이 지난 20여년 동안 중국에서 현지 조사하거나 장기 교류하며 만난 개인과 가족, 지역 주민의 이야기를 풀었다.
중국인들의 삶을 관통하는 단어는 ‘공산당’이 아닌 ‘자본주의’다. 조문영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가 2004년 만난 푸순 지역 노동자 가족이 이런 사례다. 대학원생 리핑의 아버지는 과거 홍위병이었지만, 구조조정에 따라 국영기업에서 일자리를 잃고 거리로 나앉은 ‘시아깡’이 됐다. ‘직책에서 내려오다’라는 의미의 시아깡은 사회주의 체제에서 금기시하는 ‘실업’의 다른 표현이다.
국가에서 버림받은 이들은 가족을 중심으로 고난을 극복한다. 살던 집은 월세를 벌려고 내놓고, 자신들은 친척들과 뭉쳐 산다. 시장에선 작은 가판을 운영한다. 국가가 삶을 보장할 수 없게 된 사회에서 가장 확실한 생존 전략은 자녀 교육이었다. 칭화대 경제학과 대학원에 들어가면서 가족의 영웅이 된 리핑은 베이징에 정착한 뒤 사촌 여동생 양양의 일자리를 알선한다. 조 교수가 2011년에 다시 만난 양양은 예쁘게 화장하고 쇼핑몰을 놀러다니던 철부지가 아니었다. 리핑의 인맥으로 베이징의 한 부동산 회사에 취업해 흙먼지 휘날리는 공사 현장 한편에 마련된 컨테이너에서 살고, 야간대학을 다니며 미래를 꿈꾼다.
‘개방개혁의 1번지’ 선전시의 변화는 자본주의의 우월성을 입증하는 듯하다. 개방개혁 이전의 선전은 남쪽 변경에 있는 인구 3만명의 한적한 어촌이었다. 중앙 정부는 1980년 별다른 경제적 지원 없이 선전에 ‘자율권’만 줬다. 선전은 ‘홍콩식 자본주의’를 배워 가며 40년 동안 국내총생산(GDP) 1만배 상승이라는 기적을 일궜다.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절반은 중국, 나머지는 홍콩에 속한 선전 뤄팡촌의 촌장 천톈러는 개발 반대론자들이 “자본주의가 좋으냐, 사회주의가 좋으냐”고 따지자 “인민 생활이 좋아지면 우리는 국가와 제도를 옹호할 것”이라고 답한다. 그러나 선전의 화려한 발전 뒤에는 폭스콘 노동자의 잇따른 투신자살 사건, 그리고 ‘기회의 땅’에서 밀려난 이들의 근근한 삶이 있다. 빌딩으로 둘러싸인 미개발촌 ‘성중촌’ 세입자들은 순식간에 길거리로 내몰린다.
작품을 팔 수 없는 이슬람 회족 예술가, 주먹 출신의 성공한 조선족, 관광지 개발에 따른 마을 이전에 반대하는 다이족 노인들의 삶에서는 소수민족의 애환을 읽을 수 있다. 한족을 제외한 55개 민족이 무려 1억명을 넘지만, 이들은 여전히 ‘소수민족’일 뿐이다.
격변기를 살아온 이들에게 국가의 의미는 희미해졌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민’이라는 분명한 정체성 대신 제목인 ‘민간’으로 이들을 에두른 것은 이런 이유다. 이들에게 국가는 이제 어떤 존재일까. 가족, 민족, 계층, 젠더, 세대, 지역, 국경 등 다양한 층위를 가로지르는 삶의 조각보를 들여다보면, 중국에 관한 이해의 깊이도 깊어질 것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01-0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