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기원
폴 블룸 지음/최재천·김수진 옮김
21세기북스/344쪽/2만 2000원
한 살배기 아기도 선악 구분 가능‘어느 정도’의 도덕성 갖고 태어나
교육·사회화 통해 성숙한 존재 돼
성선설·성악설만으로 판단 못 해
인간의 본성은 선할까, 아니면 악할까. 명쾌하게 풀리지 않은 문제 가운데 하나다. 책의 저자인 폴 블룸 예일대 심리학과 교수는 이와 관련한 재미있는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한 살배기 아기들에게 3명의 등장인물이 나오는 인형극을 보여 줬다. 가운데 있는 인형이 오른쪽 인형에게 공을 굴리자 오른쪽 인형은 다시 공을 되돌려줬다. 그러나 왼쪽 인형에게 공을 주자 이 인형은 공을 들고 그대로 달아나 버렸다.
폴 블룸 예일대 심리학과 교수
인형극이 끝난 뒤 인형 앞에 사탕 하나씩을 놓고 아기에게 하나만 가져가라고 했더니 약속이나 한 듯 대부분 왼쪽 인형의 것을 가져갔다. 배우지도 않았는데 착한 인형과 나쁜 인형을 구별하고 나쁜 인형에게 나름의 벌을 가한 셈이다.
저자는 직접 했던 여러 실험과 기존의 다양한 연구 결과를 들어 인간이 도덕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한다. 그뿐만 아니라 어려움에 부닥친 타인을 돕고 싶은 욕구, 고통받는 사람들에 대한 연민, 잔인한 사람들에 대한 분노, 자신의 수치스러운 행동에 대한 죄책감과 착한 행동에 대한 자부심 등도 조금은 품고 엄마 뱃속에서 나온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아기의 도덕성은 완벽하지 않다. 낯선 사람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자신의 집단 외에는 배타적인 행동을 취하기도 한다. 영유아 어느 시기에는 굉장히 공격적인 모습을 보일 수도 있다. 물리적인 폭력을 표출하는 비율이 2세 때 정점을 찍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특히 ‘혐오’처럼 태어날 땐 없었던 특성도 있다. 2세 미만 아기들에게 땅콩버터와 냄새가 강한 치즈를 개똥 모양으로 만들어 건네줬는데 대부분이 아무런 의심 없이 먹었다. 저자는 “유아기 어느 때가 지나면 마치 스위치가 켜지듯 성인처럼 많은 것을 혐오하게 된다”고 했다. 혐오가 학습의 결과라는 뜻이다.
저자는 도덕성에 대해 “근육을 계속 사용하면 강화되는 것처럼 도덕성도 결국 이성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도덕성의 성장을 개인 차원이 아닌 사회에도 적용해 본다. 교육과 사회화를 통해 인간은 선천적인 도덕 감각을 넘어 더욱 성숙한 도덕적 존재로 성장할 수 있다는 의미다.
예컨대 과거 당연하게 여겼던 신분제도나 노예제도의 부당함을 깨닫고 이를 철폐한 것처럼 인류는 이성적 사고를 통해 한발 더 나아갈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인간은 단순하게 성선설과 성악설의 잣대로 판단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닌 무한한 가능성을 품고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우리는 그저 아기로만 그치지 않는 그 이상의 존재”라고 밝힌 저자는 올바른 교육과 사회화를 통해 개인도 사회도 더 성장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류 발달의 역사를 돌아보면 이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을 터다.
2024-10-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