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반출됐던 ‘독서당계회도’ 보물 된다

해외 반출됐던 ‘독서당계회도’ 보물 된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3-13 18:46
업데이트 2023-03-14 17: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독서당계회도. 문화재청 제공
독서당계회도. 문화재청 제공
100년 가까이 일본을 떠돌다 지난해 환수한 ‘독서당계회도’가 13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독서당계회도’는 조선 중종대인 1516~1530년 독서당에서 사가독서(젊고 유능한 문신을 선발해 휴가를 주고 공무 대신 학문에 전념하도록 했던 인재양성책)를 했던 현직 관료들의 모임을 기념하여 그린 작품이다. 전체 크기가 72.4㎝, 세로 187.2㎝로 주인공들이 한강에서 뱃놀이하는 장면을 묘사했다. 하단에 언급된 인물들의 관직을 ‘조선왕조실록’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1531년쯤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일본 교토국립박물관장을 지낸 간다 기이치로(1897~1984)가 소장하고 있었다. 그의 사망 후 또 다른 누군가가 유족에게서 입수해 크리스티 경매에 내놓은 것을 지난해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매입했다.

기존에 보물로 지정된 다른 계회도와 비교해 ‘독서당계회도’는 후대 제작된 계회도의 전형적인 형식을 갖춘 형태로는 제작 시기가 가장 앞서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평가를 받는다. 또한 상상 속 이상적 풍경을 그린 관념산수화가 아니라 실제 한강 주변 풍경을 그린 실경산수화의 시원 양식을 유추케 한다는 점에서 역사적, 미술사적 가치가 높다. 학계에서는 향후 국보 지정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문화재청 제공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문화재청 제공
‘독서당계회도’와 함께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수능엄경의해 권9~15’, ‘이항복 해서 천자문’도 함께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고려 후기(14세기)에 제작됐다. 이 보살좌상은 갸름한 얼굴에 복스러운 표정, 보계와 귀걸이, 고개를 앞으로 내민 구부정한 자세 등의 표현을 통해 고려 후기 전통양식을 보여 주는 동시에 다소 좁고 왜소한 어깨, 긴 허리, 높은 무릎 등이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변화 양식을 보여 주고 있어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이미지 확대
수능엄경의해. 문화재청 제공
수능엄경의해. 문화재청 제공
‘수능엄경의해 권9~15’는 인도 승려 반라밀제가 중국 당나라로 전래해 한역한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10권을 중국 남송의 함휘가 30권으로 엮은 주해서 중 권9~15에 해당하는 경전이다. 조선 세조 8년(1462) 간행됐으며 전 30권 판본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비교적 많은 양을 온전하게 갖추고 있고 국내에서 처음 공개되는 유일한 권수로 희귀성이 있는 귀중한 학술적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미지 확대
이항복 해서 천자문. 문화재청 제공
이항복 해서 천자문. 문화재청 제공
‘이항복 해서 천자문’은 선조 40년(1607) 이항복이 손자 이시중의 교육을 위해 직접 써서 내려준 천자문이다. 총 126면 분량으로 본문 125면과 발문 1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항복이 후손 교육에 쏟은 관심과 애정을 확인할 수 있고, 한자 밑의 한글 음과 뜻이 있어 이 시기 한글 변천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국어사적 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4건의 문화재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각계 의견을 수렴한 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계획이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