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직원들 연내 음식물쓰레기 50% 감량

환경부 직원들 연내 음식물쓰레기 50% 감량

입력 2010-03-29 00:00
업데이트 2010-03-29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잔반저울 설치해 경고·벌금

“음식물 잔반 제로에 도전합니다.”

환경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종합대책’ 후속 조치로 이달 말부터 소속 지방·대기환경청과 산하기관 직원들이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감량에 나선다고 28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현재 환경부 산하 16개 기관 중 12곳은 직영으로 구내식당을 운영 중인데 이용하는 인원은 2600여명으로 1일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400㎏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따라서 6월 말까지 소속기관 7곳의 잔반을 제로화하고, 연말까지는 식재료 쓰레기를 포함한 음식물쓰레기 발생량도 50% 이상 줄이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환경부 관계자는 “목표를 달성할 경우 연간 약 2억원의 경제적 낭비를 막고, 음식물쓰레기 처리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1만 7600㎏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음식물의 생산·유통·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양까지 포함하면 온실가스 저감효과는 더욱 크다고 덧붙였다. 환경부 소속·산하기관의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대책’은 발생특성에 따라 단계별로 실천하게 된다. 먼저 재료구입시 먹지 못하는 부분을 산지에서 다듬은 ‘소포장·깔끔 포장’된 것을 구매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또한 식사인원을 예측하고, 시차조리(식사인원 80%만 먼저 조리하고 추가조리), 정기적인 ‘메뉴선호도 조사’ 등을 통해 조리시 발생량을 최소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잔반 저울설치, 식판을 반납하는 곳(퇴식구)도 녹색과 붉은색 두 곳으로 나뉜다. 저울은 잔반이 있을 경우 경고음이나 경광등을 밝혀 경각심을 갖게 하고, 벌금도 내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잔반을 남길 경우 먼거리에 잔반통을 비치,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식사는 먹을 만큼만 덜어갈 수 있도록 ‘소형집기’를 준비하고, 국도 크고 작은 양으로 구분해 배식하게 된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0-03-29 2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