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지성에 듣는다] (3) 마틴 프로스트 佛대학 한국학과장

[유럽의 지성에 듣는다] (3) 마틴 프로스트 佛대학 한국학과장

입력 2010-09-18 00:00
업데이트 2010-09-18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문화 ‘생얼’ 보여주는게 코리아브랜드”

“현재 한국 문화의 세계화를 추진하는 방식은 정부가 주도하고 민간이 협조하는 방식이죠. 그런데 이 방식은 위험성이 높습니다. 세계인이 무엇을 좋아하는지보다 자기가 보여주고 싶고, 좋다고 생각하는 부분만을 반복해서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죠. 그건 진정한 한국 문화가 아닙니다. 리틀엔젤스로 대표되는 부채춤, 특이하죠. 다들 신기하고 아름답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부채춤이 한국 문화를 모두 보여준다고 할 수는 없잖아요. 코리아브랜드라는 건 직접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걸 꼭 명심해야 합니다.”

이미지 확대
유럽 최고의 한국문화 전문가로 평가받는 마틴 프로스트(59) 파리7대학 한국학과장 겸 콜레주 드 프랑스 한국연구소장은 16일(현지시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문화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민간 주도의 자연스러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이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과거와 달리 이미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태에서 지나치게 이미지를 만들려고 하는 것은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 프로스트 교수의 분석이다.

그는 “‘한류’가 좋은 것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갑작스러운 부상은 급하게 꺼지는 거품이 될 수도 있다.”면서 “유럽 사람들이 창조적이고 특이한 점을 좋아한다는 점에서 한국 문화는 특별히 만들지 않아도 그 자체만으로도 승부가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외규장각 도서 반환 문제에 대해 프로스트 교수는 “당연히 돌려주는 게 맞다고 생각하지만 문화재의 외부 반출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는 프랑스의 내부 현실과 국민 정서 등을 감안할 때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러나 외규장각 도서는 엄연히 한국의 것인 만큼 한국 정부와 민간 차원의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우선 양국이 공동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면서 단계적으로 접점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파리 박건형 순회특파원 kitsch@seoul.co.kr
2010-09-18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