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보기의 책보기] 시(詩)는 무엇이어야 한다 말하는 사람 누구인가

[최보기의 책보기] 시(詩)는 무엇이어야 한다 말하는 사람 누구인가

입력 2024-04-08 14:55
업데이트 2024-04-08 14: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너는 단 하루도 비를 맞지 않았다』 조양제 시집 / 어진책잇소
『너는 단 하루도 비를 맞지 않았다』 조양제 시집 / 어진책잇소
인터넷도 핸드폰도 없어 즐길 콘텐츠가 많지 않았던 시절 영화배우나 탤런트, 가수 등 대중스타로 뜨는 일은 낙타가 바늘귀를 통과하는 것보다 어려운 일이었다. 문학은 그 부족한 콘텐츠의 저수지를 채워주는 중요한 샘이었다. 명작을 써낸 소설가, 시인이 상당한 인기와 명예를 얻었고, 자신이 교양인 또는 지식인임을 사람들에게 드러내는 방법은 괜찮은 소설책이나 시집 한 권을 옆구리에 끼고 다니는 것이었다. 동네마다 서점이 여러 군데 있었고 서점마다 문학작품 코너는 상대적으로 좁지 않았다.

인터넷과 핸드폰 시대 소통 텍스트가 문자에서 영상으로 넘어가자 독서가 생활에서 점점 멀어져 동네에서 책방들이 사라지기 시작할 즈음 유독 시집 코너부터 먼저 없어지기 시작했다. 이제 오프라인에 겨우 남아있는 대형서점에 가도 시집 코너는 구석에 조그맣게 숨어 찾기도 어렵다. 시집을 찾는 손님이 그만큼 없기 때문인데 그 이유가 사람들이 책을 안 읽기 때문인 것이 전부일까? 아니다. 언제부터인가 시인들이 시를 독자가 백 번을 읽어도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모르도록 너무 어렵게 쓰는 바람에 독자들이 하나둘 시집 사기를 꺼려했던 것도 큰 이유다. 여기에 어떤 시인은 “독자도 어려운 시를 이해할 만큼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하는데 ‘내돈내산’(내 돈 내고 내가 산) 독자는 굳이 그럴 생각이 없다.

‘시은 은유다. 시는 운율이다. 시는 재미다. 시는 새로움이다. 시는 감동이다. 시는 통찰이다.’ 등등 ‘시는 무엇이고, 어떻게 써야 한다’는 정의가 무성한데 그것들 모두 의미 없다. 누구든 ‘이것이 시요’ 하며 쓰면 그것이 시다. 그것이 좋은 시인지 아닌지 평가는 다른 시인도 문학평론가도 아닌 오직 독자 고유의 몫이다. 누구든 시를 쓰고 싶으면 쓰되 자기 자신이 아닌 독자를 향해 써야 한다. ‘시란 독자를 향하는 그 무엇’이므로.

논에 들에/ 할 일도 많은데/ 공부시간이라고/ 일도 놓고/ 헛둥지둥 왔는데/ 시를 쓰라 하네/ 시가 뭐고/ 나는 시금치씨/ 배추씨만 아는데 –‘칠곡 할매 소화자’의 ‘시가 뭐고’ 전문-

『너는 단 하루도 비를 맞지 않았다』는 ‘시가 뭐고’처럼 조양제 시인이 ‘화려한 프로’는 아니지만 오직 독자만 바라보며 소신껏 쓴 시를 모아 낸 첫 시집이다. 스스로를 ‘매일매일 생활시인’이라고 하는 만큼 익숙한 일상에서 포착한 ‘깨달음’을 시인 스스로 시라 생각하는 문장에 담아 세상에 내놓았다.

그렇게 나 대신 갇혀서/ 50년을 넘게 살았다/ 그렇게 나의 고독을/ 혼자 다 가져가서/ 50년을 넘게 살았다// 이제야 너의 외로움에 손을 내민다/ 비록 나의 손이/ 너의 손을 잡지 못하지만/ 이제야/ 너의 마음에/ 내 마음을 얹는다 –표제시 ‘너는 단 하루도 비를 맞지 않았다’ 중 발췌-

시인은 누구나 표리부동하게 살 수밖에 없는 50년을 보낸 후에야 내면의 자신에게 손을 내밀어 따듯하게 껴안으며 ‘이제 내가 네 마음을 아니/ 거울 속에서 돌아서서/ 울지 말기를,/ 우린 또 만날 거니까/ 우린 매일 만날 거니까’라며 스스로를 위로한다. 독자는 ‘그래 맞아, 나도 내 안의 나를 따듯하게 위로해주자’라며 시인의 생각에 동참한다.

누군가 별에서 떨어지는/ 눈물을 보았다면/ 그는 진정 별을 사랑한/ 사람이었으리라

–조양제 ‘별의 눈물’ 중-

최보기 북칼럼니스트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