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SM엔터테인먼트 매니저들 어떻게 뽑나

[커버스토리] SM엔터테인먼트 매니저들 어떻게 뽑나

입력 2013-11-30 00:00
업데이트 2013-11-30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뢰·성실성 최우선…장기플랜 맞춰 60여명 유기적 팀워크

과거 엔터테인먼트 업계는 조직폭력배들이 회사를 세워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엔터테인먼트가 하나의 산업으로 떠오르면서 연예기획사 역시 선진화된 스타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그중에서도 동방신기, 보아, 소녀시대 등 K팝 스타들을 배출한 ‘아이돌의 산실’ SM엔터테인먼트는 국내 연예계에서 단연 최고의 스타 시스템을 자랑하는 곳이다.
지난 28일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CGV. ‘엑소의 쇼타임’ 제작발표회가 진행되는 동안 탁영준(왼쪽 두번째) 실장과 그룹 엑소의 매니저들이 이날 멤버들의 일정 자료를 점검하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지난 28일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CGV. ‘엑소의 쇼타임’ 제작발표회가 진행되는 동안 탁영준(왼쪽 두번째) 실장과 그룹 엑소의 매니저들이 이날 멤버들의 일정 자료를 점검하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28일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CGV. ‘엑소의 쇼타임’ 제작발표회가 진행되는 동안 그룹 엑소의 매니저 이승환씨가 행사장 한쪽에서 현장을 지켜보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28일 오후 1시 서울 여의도 CGV. ‘엑소의 쇼타임’ 제작발표회가 진행되는 동안 그룹 엑소의 매니저 이승환씨가 행사장 한쪽에서 현장을 지켜보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28일 오후 5시 서울 청담동 SM엔터테인먼트 사옥에서 엑소의 콘셉트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매니저와 직원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28일 오후 5시 서울 청담동 SM엔터테인먼트 사옥에서 엑소의 콘셉트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매니저와 직원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28일 오후 5시 30분 서울 청담동 SM엔터테인먼트 사옥. 매니저들이 영상화면을 띄워놓고 엑소의 무대 퍼포먼스를 연구하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28일 오후 5시 30분 서울 청담동 SM엔터테인먼트 사옥. 매니저들이 영상화면을 띄워놓고 엑소의 무대 퍼포먼스를 연구하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SM에는 가수와 연기자를 발탁해 데뷔시키고 활동을 이어가기까지의 모든 과정마다 이를 담당하는 팀이 따로 있다. 가수의 경우 신인 발굴과 곡 수집, 안무 구상과 콘셉트 결정 등 단계별로 관장하는 팀이 있는 것. 이 과정은 SM엔터테인먼트의 총 프로듀서인 이수만 회장의 진두지휘하에 유기적으로 진행된다. 1990년대 후반까지는 국내 작곡가와 안무가들로 앨범을 채웠으나, 지금은 해외 작곡가 450여명과 연을 맺고 토니 테스타 등 세계적인 안무가가 참여하는 등 국제적인 규모의 스타 양성 시스템을 갖췄다.

한 스타가 거쳐 가는 각 단계들을 총괄하는 건 스타를 담당하는 매니저다. 총 60여명인 매니저들은 각 팀에서 이뤄지는 의사결정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 그룹 엑소의 ‘늑대소년’ 콘셉트, 슈퍼주니어의 활발한 개인 활동, 소녀시대의 절도 있는 군무 등 아이돌 그룹들의 성공 전략 하나하나가 각각의 팀과 매니저들의 손을 거친다. 탁영준 실장은 “한 스타의 장기적인 플랜을 기획하는 게 매니저”라면서 “스타와 비즈니스 차원을 넘어 인생 전반에 걸친 길을 제시하는 관계를 맺는다”고 설명했다.

엑소의 매니저 이승환씨는 슈퍼주니어를 담당하다 2011년 1월 엑소의 팀 윤곽이 잡혔을 때부터 이들을 맡았다. 연습생 시절부터 함께하며 장단점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구상했다. 멤버들과 형 동생처럼 지내며 함께 봉사활동도 다녔다. 이씨는 “슈퍼주니어를 담당하면서 멤버 개개인의 역량을 키우며 팀워크를 끌어올리는 방법을 알았고, 엑소를 키워낼 때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SM은 매니저를 선발할 때 특정한 자격 조건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다만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덕목은 신뢰와 성실성이다. 탁 실장은 “서로 간의 신뢰 속에 말단 직원들도 최고 결정권자에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중요하다”면서 “정해진 시간에 많은 일을 동시에 해내면서 또 하나의 일에 집중해 단시간에 끝낼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3-11-30 1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