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과 함께하는 식품보감] 보릿고개 서민 음식 빵·샐러드 무한변신

[농촌진흥청과 함께하는 식품보감] 보릿고개 서민 음식 빵·샐러드 무한변신

입력 2014-11-21 00:00
업데이트 2014-11-21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세기동안 사랑 받은 옥수수

최근 옥수수는 강냉이, 팝콘, 수프 등 간식으로 인기다. 특히 여름철 대표 간식인 찰옥수수는 비타민, 단백질 등 영양소가 풍부한 건강식이다. 옥수수는 수염차 등 음료는 물론 식용유, 마가린, 올리고당 등으로 만들어져 각종 음식에 들어간다.
이미지 확대
옥수수로 마가린·스프·쿠키
옥수수로 마가린·스프·쿠키
이미지 확대
옥수수 수염차
옥수수 수염차
이미지 확대
올리고당
올리고당


하지만 불과 1960~70년대만 해도 옥수수는 보릿고개 시절에 배고픔을 잊게 해 준 대표적인 서민 음식이었다. 옥수수를 쌀과 섞어 밥을 하거나 국수, 올챙이묵 등으로 만들어 먹었다. 강원도 지역에서는 옥수수 이삭을 통째로 바짝 말려서 보관했다가 낟알을 까서 밥으로 먹기도 했다. 한국전쟁 직후에는 정부가 미국과 유엔 등에서 식량원조 물품으로 공급한 옥수수 가루를 빵과 죽으로 만들어 굶주린 국민들에게 배급하기도 했다.

옥수수는 여전히 해외 여러 나라에서 주요 식량으로 재배하고 있고 요리도 다양하다. 특히 중남미 지역의 옥수수 요리가 유명하다. 멕시코 사람들의 주식인 ‘토르티야’(Tortilla)는 옥수수를 반죽해 만든 둥글고 납작한 형태의 발효를 시키지 않은 빵이다. 이 토르티야에 재료를 넣고 통째로 구우면 ‘케사디야’(Quesadilla)가 되고, 토르티야를 칩 형태로 튀기거나 구우면 토토포라고도 불리는 대표적인 옥수수 과자 ‘나초’로 변신한다.

나초
나초
이미지 확대
옥수수 전분
옥수수 전분
멕시코 등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는 깜부기병에 걸린 옥수수도 먹는다. 깜부기병은 옥수수의 이삭, 줄기, 잎 등에 발생하는 병으로 걸리면 혹처럼 부풀어 오르는 병이다. 지금부터 약 1000년 전에 배고픔을 참지 못한 아스텍 원주민들이 깜부기병에 걸린 옥수수를 먹었는데 의외로 맛이 좋아 일부러 골라 먹기 시작한 것이 기원이다.

이탈리아에서는 물에 옥수수 가루를 넣고 끓인 ‘폴렌타’(Polenta)가 유명하다. 수프라기보다는 우리의 죽과 더 비슷한 요리다. 묽은 죽 상태로 그냥 먹거나 화덕, 그릴에 굽거나 튀겨서도 먹는다. 값이 싸면서도 쉽게 배가 부르기 때문에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서민음식이었고 지금도 그 나라를 대표하는 요리 중 하나다.

캔에 담겨져서 파는 샐러드용 스위트콘은 세계적인 간식이다. 스위트콘은 미국에서만 약 1조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옥수수 알맹이를 튀긴 팝콘은 북미 지역 인디언들이 최초로 만들어 먹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아메리카 대륙 전반에 걸쳐 재배됐던 옥수수는 1492년 콜럼버스에 의해 유럽의 에스파냐(스페인)로 전래된 뒤 유럽 전역으로 퍼졌다. 수확량이 많은 옥수수가 전래된 이후 유럽의 인구는 2배 가까이 늘었다. 이후 옥수수는 16세기에 들어 아시아로 전파됐는데 인도, 티베트,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도 들어왔다.
2014-11-21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