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 품은 우리 동네] 동춘당 송준길은…

[길을 품은 우리 동네] 동춘당 송준길은…

입력 2012-08-29 00:00
업데이트 2012-08-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학 밝아 김장생 앞길 예언…송시열과 함께 兩宋으로

동춘당(同春堂)은 조선 문신이자 성리학의 대가였던 동춘당 송준길의 별당이다. 대전의 문화유산 중 유일하게 보물(제209호)로 지정돼 있다.

동춘당의 원 주인은 부친인 청좌와 송이창이다. 병자호란을 거치며 당의 일부가 허물어지자 동춘당이 현 위치로 옮겨와 다시 지었다. 현판은 우암 송시열이 동춘당이 세상을 떠난 지 6년 후인 1678년에 직접 썼다. 진본은 종중에서 보관 중이며, 현판의 위치도 과거와 달리 중앙으로 옮겨져 있다.

동춘당은 단아하고 간소해 조선시대 별당건축의 표본으로 불린다.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의 팔작지붕으로 동편 네 칸은 마루, 서편 두 칸은 온돌이다. 건물 뒤편으로 아궁이가 있는데 굴뚝은 보이지 않는다. 아궁이를 끼고 오른쪽으로 돌아가면 초석 높이의 구멍이 있는데 이것이 굴뚝이다. 굴뚝이 높아 불이 잘 들고, 불이 잘 들면 방이 따뜻해져 몸이 편안해지는 걸 경계했던 것이다. 옥류각과 마찬가지로 ‘들어열개문’을 설치했다. 열개문을 모두 들어올리면 별당채 전체를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선인의 지혜가 담겨 있다.

동춘당은 예학에 밝아 김장생이 예학의 종장(宗匠)이 될 것을 예언했고, 문장과 글씨에도 능했다. 문묘(文廟)에 배향된 18현 중 한 분이다. 동춘당 송준길을 지칭하는 말에는 양송(兩宋), 삼송(三宋), 충청오현(忠淸五賢) 등이 있다. 양송은 동춘당과 우암 송시열, 삼송에는 제월당 송규렴이 더해진다. 충청오현은 양송에 김집, 이유태, 권시를 더해 일컫는다.

지난 5월 26일 동춘당에서는 영남학파와 함께 조선시대 유학의 양대 축으로 꼽히는 기호학파 유학을 알리기 위한 ‘기호유학 인문마당’이 열렸다. 10월 첫째주 토요일 구민의 날에는 동춘당문화제가 동춘당 주변에서 열린다. 지자체의 노력 등이 더해지면서 동춘당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관광객뿐 아니라 한국학과 건축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방문이 끊이질 않고 있다. 최근 대전에서 열린 세계조리사대회에서는 400년 전통을 가진 동춘당 국화주가 선보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양조비법은 종중이 보관하고 있는 고서 ‘주식시의’에 기록돼 있다.

향토사학자 김정곤씨는 “동춘당 선생은 부친과 똑같은 38세에 별당을 짓고 66세에 돌아가시는 등 부자 간에 의도하지 않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면서 “평생 사람이 메는 가마를 타지 않는 등 백성을 살피고 배려한 대학자이자 큰 선비”라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2-08-29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