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중국, 독자기술 단계 진입… 가격경쟁력땐 복병

[월드이슈] 중국, 독자기술 단계 진입… 가격경쟁력땐 복병

입력 2010-03-10 00:00
업데이트 2010-03-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베이징 박홍환특파원│“한국을 배우자!” 중국의 국정자문회의 격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에서 한국의 원전 수출 사례가 비중있게 거론됐다. 지난 7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협 전체회의에서 정협위원인 왕빙화(王炳華) 국가원자력발전공사 회장은 2100여명의 정협위원들을 상대로 대표발언을 통해 “중국 원자력발전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며 한국의 원전 사례를 상세하게 소개했다.

왕 회장은 “한국은 지난 20여년동안 원자력발전 공업 체계의 합리적 분업과 산업자원 집중, 체제개혁 등을 통해 독자적인 원전 기술을 만들어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원전과 중국의 고속철도 사례에서 보여지듯 독자적인 기술을 갖춰야 대외수출의 능력을 갖게 되는 것”이라면서 “각 영역에서 원전산업의 국제경쟁력을 갖춘 ‘국가대표팀’을 육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계 최대의 원전 시장이기도 한 중국이 부쩍 원전 기술자립을 외치고 있다. 해외진출에 대한 야심도 감추지 않는다. 2000년대 초 중국 공산당과 국무원은 원자력발전 기술자립 계획을 주요 시책으로 제시한 바 있다. 지난해 말 열린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는 원자력발전이 전략적 신흥산업에 포함됐다. 최근 중국 정부는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직접 주재하는 국가에너지위원회를 만들었다. 국가적 차원에서 에너지산업을 총체적으로 관리하겠다는 뜻이다.

중국은 이미 미국의 비능동형 3세대 원자로인 AP1000을 개량한 중국형 비능동형 원자로인 CAP1400과 CAP1700 기술을 확보한 상태이다. CAP1400은 140만㎾급 원자로로 내년에 설계를 마친 뒤 2013년 산둥(山東)성 롱청(榮成)시에서 첫 삽을 떠 2017년 말부터 발전을 시작한다. 기술도입, 기술확보 단계를 넘어 독자기술 단계로 이미 접어들었다고 자평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가격경쟁력까지 갖추게 되면 세계 원전시장의 큰 복병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첫 번째 원전 수출 대상국가로 동유럽의 벨로루시가 거론되고 있기도 하다. 왕 회장은 최근 한 인터뷰에서 “한국의 원전 수출은 우리에게 엄청난 자극이 됐다.”면서 “국내 원전 독자건설과 함께 해외로 나가 세계의 원전을 수주해야 하고, 이것이 중국 원전인들의 꿈이다.”라고 말했다.

stinger@seoul.co.kr
2010-03-10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