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 먼저 화해의 손

李 대통령 먼저 화해의 손

입력 2010-02-13 00:00
업데이트 2010-02-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도논쟁 하루만에 급반전

하루 만에 다시 ‘화해모드’로.

여·여(與·與) 갈등이 롤러코스터를 탄 듯 반전을 거듭하고 있다. ‘분당’ 얘기까지 나오며 극한상황으로 치닫는가 싶더니 서둘러 ‘봉합’이 이뤄지는 형국이다.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지만, 적어도 겉으로는 진정되는 모습이다.

이미지 확대
이명박 대통령이 12일 한나라당 정몽준(왼쪽 다섯번째) 대표와 신임 당직자들을 청와대로 초청, 조찬 간담회를 갖기에 앞서 환담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이명박 대통령이 12일 한나라당 정몽준(왼쪽 다섯번째) 대표와 신임 당직자들을 청와대로 초청, 조찬 간담회를 갖기에 앞서 환담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며 맹공을 퍼붓던 청와대가 12일엔 조기 수습 쪽으로 돌아섰다. 이번엔 ‘강도론’을 처음 꺼냈던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나섰다. ‘발언파문’으로 인한 갈등을, 대규모 민심(民心)이 이동하는 설 연휴가 오기 전에 마무리짓고 가자는 뜻을 당 안팎에 전달했다. 당내 갈등 확산을 조기에 막으려는 것은 여권 내부 갈등이 길어져 봤자 국민에게는 똑같이 소모적인 계파 간 ‘정쟁’으로 비칠 것이라는 점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다만 이번 갈등이 박 전 대표가 발언을 오해한 데서 비롯된 일임을 분명히 해 뒀다.

이 대통령은 당내 화합을 강조하며, 한 걸음 더 나아가 박 전 대표와의 회동 가능성도 언급했다.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일점, 일획도 바꿀수 없다는데 어떻게 대화를 하느냐.”(이동관 홍보수석)는 태도와는 사뭇 달라진 분위기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그러나 회동 가능성과 관련, “원론적인 수준의 언급이었으며, 현재 박 전 대표와의 회동이 구체적으로 추진되는 것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여권 내 갈등에 종지부를 찍겠다고 밝힌 것과는 별도로 이 대통령이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당론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힌 점은 특히 주목되는 부분이다. 세종시 수정안이 발표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한나라당은 원안에서 수정안으로 당론을 바꾸는 절차에 들어가지도 못했다. 당 지도부가 3월에 ‘끝장토론’을 하겠다고 했지만, 지금까지는 당내에서 실질적인 토론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친이·친박 간 이견으로 갈등 구도만 깊어지면서 결국 세종시 문제가 ‘장기표류’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때문에 이 대통령은 당 쪽에 당론 변경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전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기류는 친이계를 결속시키는 것은 물론 계파색이 옅은 ‘중간지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이 ‘민주적인 방법’을 언급한 것은 사실상 ‘표결’로 당론을 변경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 당론이 정해지면 개인 생각이 달라도 따라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도 표결로 수정안이 당론으로 채택된 이후의 반발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0-02-13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