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사태 일지

천안함 사태 일지

입력 2010-05-20 00:00
업데이트 2010-05-20 1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군 합동조사단은 20일 북한에서 제조한 고성능폭약 250㎏ 규모의 어뢰가 천안함을 공격해 침몰했다고 발표했다.

 3월26일 천안함이 침몰한 뒤에 이뤄진 초동조치부터 함미에 이은 함수 인양작업,합조단의 조사결과 발표까지의 주요 일지를 정리했다.

[포토] 산산조각난 천안함…결정적 증거는?

 △3월26일 오후 9시22분=해군 1천200t급 초계함인 천안함,백령도 서남방 2.5㎞ 해상에서 침몰.승조원 104명 가운데 58명 구조,46명 실종.

 △3월27일=국회 국방위,초계함 침몰 긴급현안보고.

 △3월28일=해군 해난구조대(SSU) 잠수사들,구조작업 위해 사고해역에서 첫 입수.

 △3월30일=해군특수전여단 수중폭발팀(UDT) 소속 한주호 준위,함수 부분 탐색도중 실신해 후송된 후 순직.

 △4월1일=군,TOD(열상감지장비) 화면 전체분량 공개.사고시각 9시22분으로 정정,사고해역서 진도 1.5의 지진파 관측사실 공개.

 △4월2일=수색작업에 참여했던 저인망 어선 ‘금양 98호’,조업구역으로 돌아가던 중 옹진군 대청도 인근에서 침몰.

 △4월3일=천안함 함미 부분 상사식당 부분에서 첫 시신으로 발견.실종자 가족,구조.수색작업 중단 요청 기자회견.

 △4월4일=군,천안함 실종자 구조.수색작업에서 선체 인양 작업으로 전환.

 △4월7일=민.군 합동조사단 천안함 사고 발생시각 등에 대한 조사결과 발표.천안함 생존장병 기자회견.

 △4월12일=천안함 함미 백령도 해안방향 수심 25m 해저 지점으로 이동.이 과정에서 함미 일부 수면 위로 드러남.

 △4월14일=천안함 함미 체인 연결 등 인양 준비작업 완료.

 △4월15일=천안함 함미 인양.36명 시신 수습.

 △4월16일=민.군 합동조사단,외부폭발 가능성 발표.

 해군,함미 침몰.인양해역 실종자 수색 중단.

 △4월17일=북한 조선중앙통신 ‘군사논평원’ “천안함 北관련설 날조” 주장.

 △4월18일=해군 링스헬기 소청도 남방 해상에 불시착.

 △4월19일=이명박 대통령 제39차 라디오연설 “침몰 원인 끝까지 밝혀낼 것..그 결과 단호하게 대처” 입장표명.

 △4월23일=90도 오른쪽 누운 함수 바로 세워 인양준비 완료.

 △4월24일 수색작업 종료(실종 6명 미발견),함수탑재 바지선 평택 이동.

 △4월25일 민.군 합동조사단,비접촉식 외부폭발에 의한 침몰 발표.

 △5월3일 김정일 北 국방위원장 방중△5월4일 李대통령,전군 주요지휘관회의 주재.

 △5월6일 국방부 어뢰탄약 추정 화약성분 검출 확인.

 △5월10일 국방장관,어뢰 제조용 화약성분 RDX 검출 확인.

 △5월13일 민.군 합동조사단 “천안함 수거 금속 파편 북한의 어뢰 샘플과 비교”△5월16일 北함정,NLL침범했다가 경고사격에 북상.

 △5월18일 정부,주한 중국.일본.러시아 대사에게 천안함 사전 브리핑.

 △5월19일 정부,30여개 국가에 천안함 조사결과 비공개 브리핑.

 △5월20일 민.군 합동조사단,조사결과 발표 “북한제 250㎏ 중어뢰 천안함 공격”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