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내곡동 사저 특검 수사에 ‘속앓이’

靑, 내곡동 사저 특검 수사에 ‘속앓이’

입력 2012-10-24 00:00
업데이트 2012-10-24 1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특검팀 수사 속도와 방향에는 곤혹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터 매입 의혹에 대한 특검 수사가 속도를 내자 청와대가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25일에는 현직 대통령의 자녀로서는 사상 처음으로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에 대한 소환조사가 예정돼 있다. 시형씨는 내곡동 사저 터 매입 당시 계약 당사자다.

또 이광범 특검팀이 이 대통령의 큰형인 이상은 다스 회장과 그 부인까지 소환조사를 예고하는 등 대통령 일가를 전방위로 압박하는 형국이지만, 청와대로서는 마땅한 ‘대응 카드’ 없이 속수무책으로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연말 대선과 맞물려 특검 수사가 내곡동 사저 터 계약 과정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고, 이 대통령을 정면으로 겨냥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면밀히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특검팀이 당시 계약 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청와대 경호처를 압수수색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청와대 내부적으로는 특검의 수사 진행 상황을 파악하면서 촉각을 세우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4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통령이 사저 터를 사들이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이기는 하지만, 개인 영역이어서 우리가 나서는 게 적절치 않다”며 “할 말이 많지만 수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밝힐 수가 없다”고 말했다.

아마 ‘무혐의’로 결론을 내린 검찰의 수사 결과와 사실이 다르지 않고, 배임과 같은 불법은 전혀 없다는 게 청와대의 입장이다.

대통령이 사저 터를 사기 위해 직접 나선 게 알려지면 가격이 오르고 경호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어 아들 명의를 빌렸고, 매입 당시와 같은 가격에 정부가 사들인 데다 시형 씨가 재산상 이득을 본 것도 없다는 것이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민주통합당이 사실상 임명한 특검팀이 성과 없이 끝난 역대 특검과 차별화하기 위해 조바심을 내며 ‘언론플레이’에 나선 게 아니냐는 강한 의구심도 제기하고 있다.

특검팀 수사 실무자들이 23일 비공개로 청와대 주변을 탐문 조사를 시도한 데 대해서도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실제로 특검 수사 실무자들은 농협 청와대 지점의 업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청와대 탐문 수사에 나섰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 핵심 참모는 “특검이나 특정 정당에서 일부 언론에 수사 사실을 흘리는 게 아니냐는 정황이 적지 않다”면서 “어차피 시형 씨를 기소하는 것을 포함해 판을 짜놓고 맞춰 가려는 인상이 짙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