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진선미, 국정원 국조특위 위원 전격사퇴

김현·진선미, 국정원 국조특위 위원 전격사퇴

입력 2013-07-17 00:00
업데이트 2013-07-17 09: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증인채택 등 쟁점 남아 특위 정상 가동 불투명

민주당 김 현 진선미 의원이 17일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정원 국조특위)’ 위원직을 전격 자진사퇴했다.

그동안 새누리당이 국정원 국조 특위 불참의 이유로 내세웠던 두 의원의 특위 배제 논란이 일단락됨에 따라 국정원 국조는 일단 가동될 것으로 보이나 증인 채택 문제 등을 놓고 여야간 힘겨루기가 예상돼 완전 정상화 여부는 단정하기 어려워 보인다.

김, 진 두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사퇴 의사를 밝힌 뒤 국회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를 공식화했다.

김 의원은 “오직 국정조사가 새누리당의 발목잡기에서 벗어나 순행하길 바라는 충정에서 사퇴한다. 오직 나라를 위한 저희들의 결단”이라면서 “이 나라의 미래를 위해 국가정보원의 저 헌정유린과 국기문란 국정조사는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진 의원은 “새누리당이 떼쓰는 것을 사탕으로 달래드리는 것은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밝혔다.

두 의원의 ‘결단’으로 국정원 국조의 동력을 얻게 된 민주당 지도부는 두 의원에게 사의를 표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젯밤 늦게 두 분이 선당후사(先黨後私)의 자세로 자진 사퇴를 결단했다. 지도부는 두 분 결단을 안타깝지만 고맙게 받아들인다”면서 “앞으로도 두 분이 국조를 뒷받침하는 당차원의 증언단에서 활약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전병헌 원내대표도 “특위가 두 분 위원 중심으로 지혜롭고 현명한 결단을 내려줘서 더이상 새누리당이 국조를 방해할 수 없도록 만들어 준 것에 대해 전(全)당원, 127명 의원의 이름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두 의원이 사퇴함에 따라 후임 인선에 착수했다.

앞서 새누리당은 두 의원이 지난 대선 때 국정원 여직원 인권유린 문제로 새누리당에 의해 고발된 점을 들어 국조 정상화의 요건으로 두 의원의 특위 배제를 요구해 왔다.

두 의원은 전날 민주당 등 야당이 단독으로 소집한 국조특위 전체회의 때까지만 해도 “끝까지 자리를 지킬 것”이라며 사퇴 불가 입장을 밝혔으나, 국조 파행 장기화에 대한 부담 등을 감안, 자진사퇴 쪽으로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지도부는 지난 15일 국조 정상화를 위해 두 의원의 사퇴가 불가피하다는 쪽으로 사실상 가닥을 잡았으나 두 의원을 포함, 특위 위원들이 반발함에 따라 결론을 유보해 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