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대전서 벤처 성공신화 탄생하길 기대”

朴대통령 “대전서 벤처 성공신화 탄생하길 기대”

입력 2014-10-10 00:00
업데이트 2014-10-10 1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K지원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개발하고 활용않는 기술은 장롱면허”45개 기관·기업 다자간MOU 체결, 10개 유망벤처 美진출 프로그램도 발표

박근혜 대통령은 10일 오전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 확대 출범식에 참석했다.

이미지 확대
창조경제혁신센터 확대 출범식 참석한 박 대통령
창조경제혁신센터 확대 출범식 참석한 박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이 10일 오전 대전 유성구 KAIST에서 열린 창조경제혁신센터 확대 출범식에서 김창근 SK그룹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앞줄 오른쪽)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 대통령이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을 찾은 것은 지난 9월15일 대구에 이어 두 번째다. 지역 창조경제 생태계 확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역 기업의 혁신활동을 격려하는 창조경제 세일즈 행보의 2탄 격이다.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는 17개 시도별로 창의적 지역 인재, 창업·벤처기업, 대학·연구기관, 지자체 등의 역량을 모아 창조경제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공간이다.

특히 각 지역 혁신센터마다 주요 대기업 한 곳이 연계돼 1대1 맞춤형 지원을 하는 것으로 짜여졌고, 대전의 경우 SK그룹이 ICT와 에너지 역량을 이 지역 특성과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계획이다.

박 대통령은 출범식 축사에서 “대전의 뛰어난 연구개발 역량에 비해 창업과 기업활동은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출연연구소와 대학의 풍부한 연구성과가 제대로 사업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문제”라며 “이미 개발해놓고 활용하지 않는 기술은 장롱면허와 다를 바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 대전에 새로운 제2의 도약이 필요하다”며 “IT, 반도체, 에너지 등에 세계적인 역량을 갖춘 SK가 든든한 멘토이자 파트너가 되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 ‘벤처대박’ 실현을 위해 ‘드림벤처 스타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10개 유망 창업팀을 대전 혁신센터에 입주시켜, 집중 멘토링을 제공하는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을 언급, “앞으로 이곳 대전에서 벤처 성공신화가 탄생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이들 업체 가운데 우수 기업의 코넥스 상장과 실리콘밸리 진출을 목표로 하며, SK가 미국 현지에서 SKT 미국 현지법인인 이노파트너스 등을 통해 추가적인 인큐베이팅 및 투자자금(업체당 최대 250만달러)을 지원할 방침이다.

박 대통령은 이와 관련,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성공의 인큐베이터’가 되어 창업기업의 아이디어가 제품과 서비스로 이어지고, 성공신화를 쓸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며 “우수 기업은 코넥스에 상장하거나 실리콘밸리까지 진출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SK의 3개 관계사와 19개 출연연, 5개 대학이 보유기술을 제품으로 구체화하고 산업과 접목할 수 있도록 구축한 ‘온라인 기술사업화 장터’를 거론하며 “필요한 사람은 누구나 온라인에서 손쉽게 기술을 검색해 제품개발과 사업화에 활용할 수 있으며, 대전 혁신센터를 방문하면 기술활용에 대한 전문가의 지원과 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출범식에서는 SK와 SK를 지원하는 국내외 10개 기업, 대전혁신센터, 대전시, KAIST, 대덕특구 재단, 30개 출연연 등 총 45개 기관과 기업이 연구 및 사업화 역량을 최대한 결집하는 다자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SK와 대전지역 벤처기업 간 제품·서비스 개발, 상용화 협력 등을 위한 3건의 MOU도 체결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