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주, 지각참석 국감서 호된 ‘신고식’

김성주, 지각참석 국감서 호된 ‘신고식’

입력 2014-10-27 00:00
업데이트 2014-10-27 16: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은인사 지적에 “그랬다면 절대 안받았을 것” 반박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27일 대한적십자사 국정감사에서는 김성주 총재의 ‘국감 회피’ 의혹을 비롯해 전문성과 자질 부족 논란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 총재는 국감 시작과 함께 국제회의 출석차 국감에 불참한 것과 관련해 “심려와 불편을 끼쳐 사과한다”고 말했으나 복지위의 여야 위원들은 한목소리로 김 총재의 태도를 비판하고 나섰다.

새정치민주연합 이목희 의원은 “국회는 국민의 대표 기관이므로 국회를 무시하는 것은 국민을 무시하는 것”이라며 “김 총재가 국정감사에 나오지 않은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 박윤옥 의원도 “국감은 국민을 대신해 국정 전반을 감시하고 지적하는 엄중한 자리”라며 “김 총재의 사과를 받아들이겠지만 국회의 권위에 손상을 입힌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지적했다.

야당 위원들은 김 총재가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대선후보 캠프의 공동선대위원장을 지낸 점을 들어 ‘낙하산 인사’ 논란과 함께 김 총재의 과거 언행을 문제 삼으며 전문성·자질 부족 의혹을 제기했다.

새정치연합 양승조 의원은 “총재로 선출된지 몰랐고 당황했다”는 김 총재의 말에 “그것은 너무 당황할 정도로 전문성이 없었다는 것”이라며 “낙하산·보은인사의 결정판이라는 지적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김 총재는 “대선 유세 당시 제가 한 첫 마디가 ‘저를 붙잡지 말라’는 말이었고 저 자신이 정치적 체질도 아니다”라며 “그렇게 (보은인사라고) 볼 수도 있지만 보은인사였다면 절대 안 받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당 최동익 의원은 김 총재가 과거 한 특강에서 ‘중국은 돈만 주면 살인까지 한다’, ‘인도는 가난해서 개나 소와 똑같이 산다’ 라고 한 발언 등을 문제 삼으며 “이러한 발언이 적십자사의 인도주의와 융화가 되는가”라고 물었다.

김 총재는 “인도주의 정신에 맞지 않다”며 “공인이 아니라서 과하게 발언한 것을 사과하고 앞으로 공인으로서 잘 처신하겠다”고 재차 고개를 숙였다.

적십자 회비를 한 번도 낸 적이 없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는 “성주재단을 통해서 50개 이상의 국내외 NGO 단체를 돕고 있다”며 “그쪽 일에 집중하다 보니 적십자 일에 소원했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

여당 위원들은 김 총재에게 적십자사의 혁신을 촉구했다.

새누리당 이명수 의원은 “대다수 국민과 여론이 우려하는데 그 우려를 넘어 여러 성과와 업적을 내기 바란다”며 국감에 불출석하고 참석한 아·태지역 총재회의에서 북한과의 관계와 관련해 어떤 성과가 있었는지 묻기도 했다.

김 총재는 “남북관계에 민감한 부분이 많아서 관련 정부 부처와 의논해 차후에 말하겠다”면서도 “동북아 5개국 공조를 통해 대북 인도적 교류를 하는 것과 관련해 북한 측의 동의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김 총재는 “(제가) 사업체를 확장하고 수출 등 글로벌 경험이 많은 기업인이다 보니 (적십자사) 효율성 제고가 첫 업무”라며 “조금이나마 좋은 인프라를 구축하고 하나를 해도 열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