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특사 “北 미국인 석방, 대미 관계개선 조치인 듯”

킹 특사 “北 미국인 석방, 대미 관계개선 조치인 듯”

입력 2014-11-13 00:00
업데이트 2014-11-13 17: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13일 북한이 최근 미국인 억류자들을 석방한 것이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대북인권특사(왼쪽)와 마르주키 다루스만 UN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13일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열린 ‘2014 제4회 샤이오 인권포럼’ 개막식에서 최진욱 통일연구원장의 개회사를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대북인권특사(왼쪽)와 마르주키 다루스만 UN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13일 서울 소공동 조선호텔에서 열린 ‘2014 제4회 샤이오 인권포럼’ 개막식에서 최진욱 통일연구원장의 개회사를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킹 특사는 이날 통일연구원 주최로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샤이오 인권포럼’ 대담에서 ‘북한의 이번 조치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북미관계를 개선하려는 북한의 노력이나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의 통과를 막기 위한 노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답했다.

이번 대담에는 마르주키 다루스만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과 이정훈 외교부 인권대사가 함께했다.

킹 특사는 그러나 미국인 억류자들이 어디까지나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풀려난 것이며 미국은 북한의 석방 조치에 대해 “어떤 대가도 지불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이 별도의 협상 없이 억류자 석방 의사를 밝혔고 우리는 환영의 뜻을 밝힌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북한의 석방 조치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미중 정상회담을 의식한 결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그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북한이 미중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관심이 쏠리는 것을 원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달 21일 억류 중이던 미국인 제프리 에드워드 파울 씨를 석방한 데 이어 지난 8일에는 북한을 방문한 제임스 클래퍼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에게 케네스 배 씨와 매튜 토드 밀러 씨를 넘겨줬다. 이로써 북한이 최근까지 억류 중이던 미국인 3명은 모두 자유의 몸이 됐다.

킹 특사는 “북한은 과거 (국제사회가 제기하는) 인권문제에 대해 전적으로 무시하는 태도를 보였다”며 북한이 올해 전례 없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선 데는 지난 2월 발표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또 한국과 미국이 ‘특별한 관계’임을 강조하고 북한 인권문제에 대해 “한국과 긴밀하게 공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대담에서 북한 인권문제를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것이 국제사회가 북한 인권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이 유엔 총회뿐 아니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도 채택돼야 한다며 안보리가 북한 인권문제에 개입할 경우 인권과 안보를 연계하는 “크고 중요한 첫 걸음”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