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중도파, 세결집…전대 앞두고 친노 겨냥?

野중도파, 세결집…전대 앞두고 친노 겨냥?

입력 2014-12-02 00:00
업데이트 2014-12-02 13: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정치민주연합 내 비주류로 분류되는 중도 성향 소속 의원들이 2일 선거구 재획정 이슈를 고리로 세 결집에 나섰다.

중도성향 의원들로 구성된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은 이날 ‘선거구 재획정이냐 선거제 개편이냐’를 주제로 집담회를 열었다. 민집모가 정치개혁 및 정당 혁신안에 대한 집담회를 개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당내 각 계파가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내년 2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수장을 중심으로 치열한 물밑 경쟁을 벌이는 것과 달리 구심점 없이 느슨하게 흩어져 있는 이들 의원이 선거구 문제를 소재 삼아 ‘세 응집’에 나선 것이다.

전대 룰 결정을 앞두고 계파 간 세 대결이 펼쳐지는 상황에서 내부 결속을 다지자는 차원으로도 읽힌다.

이날 집담회에는 민집모 소속 의원 25명 가운데 17명이 참석, 평소 정례 오찬모임보다 높은 출석률을 보였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과 원혜영 정치혁신실천위원장이 축사를 건넸고, 차기 당권 도전이 점쳐지는 추미애 의원이 자리를 함께했다.

집담회에서는 각 지역을 대표하는 의원들이 발제자로 나서 선거구제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호남의 김동철 의원은 헌법재판소의 선거구 재획정 결정 이후 대안 중 하나로 거론되는 중대선거구제가 과연 지역주의 완화 해법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던졌다.

김 의원은 “중대선거구제를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역주의 완화에 있지만 복수의 당선인을 뽑는 기초의원선거에서 영호남의 특정 정당 쏠림 현상이 여전하다”며 “지역주의 완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고 오히려 유권자들의 정치 무관심을 심화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행 소선거구제를 유지하면서 지역구도를 완화할 수 있고 지역 대표성을 강화하는 방안, 즉 권역별 비례대표제 확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수도권 대표로 나온 김영환 의원은 “틀림없이 선거구 개편 문제를 둘러싸고 정파 싸움, 게리맨더링이 벌어져서 국민에게 추태 중 추태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며 “이런 상황에선 도시 지역은 중대선거구제, 농어촌은 소선거구제로 하는 방식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당내 문제로 눈을 돌려 “우선 당내에서라도 자체 개혁으로 지난 총선 당시의 비례대표 공천을 반성해 개혁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번 비례대표 공천자 중 당선 안정권의 명단을 보면 시민사회단체와 노동계 출신, 청년 비례가 대다수였는데 일부 집단, 계층, 단체에 편향해서는 국민의 폭넓은 지지를 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19대 총선 당시 비례대표 공천권을 행사한 친노계를 겨냥한 발언이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영남 출신에게 비례대표 2∼3석을 강제할당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