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4월 한반도 위기설 근거없다…현혹되지 말아야”

정부 “4월 한반도 위기설 근거없다…현혹되지 말아야”

입력 2017-04-11 14:51
업데이트 2017-04-11 16: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사설정보지 등에서 확산하는 ‘4월 한반도 위기설’에 대해 정부가 한 목소리로 근거없는 이야기로 일축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양국은 외교, 국방 당국을 포함해 북한·북핵 관련 구체 사안에 대해 긴밀히 조율하고 있다”면서 “최근 사설정보지 등에서 거론되고 있는 4월 한반도 위기설은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국 전략 자산의 한반도 인근 배치 및 운용 등은 북한의 위협 및 도발에 대응하기 위한 연합방위태세 유지 강화 차원에서 한미간 긴밀한 공조하에 이뤄지고 있다”며 “미국도 문제의 직접 당사자인 우리와의 협의 없이는 어떠한 새로운 정책이나 조치도 없을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 대변인은 “한미 양국은 북한의 다양한 도발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북한은 도발시에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최근 SNS 등에 유포되는 한반도 안보 상황의 과장된 평가에 대해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변인은 ‘미국 측이 군사작전을 한다면 한국 정부와 협의나 동의 없이 가능하냐’는 질문에는 “누차 강조했듯이 한미간 긴밀한 공조를 토대로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 쪽에 동의를 구한다는 뜻이냐’는 질문에 대해 “모든 분야에서 긴밀한 공조 하에 이뤄질 것”이라며 “(동의나 협의라는 의미는) 이런 답변 속에 포함되어 있다. 즉답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미간 협의를 통해서 한반도 연합방위체제와 공조 아래 이뤄진다”면서 “모든 것은 한미동맹 정신에 의해, 한미동맹 체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이런 언급은 최근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호의 재출동과 북한 ‘태양절’(4월15일) 추가 도발 가능성 관련 ‘4월 북폭설’, ‘김정은 망명설’ 등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퍼지면서 주가가 하락하는 등 사회적 불안감이 고조되는 것을 막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아울러 5월 9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근거없는 소문이 선거에 영향을 끼치는 상황도 방지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