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80·90대… “시간 안 남아”
최근 10년간 매년 3500명 숨져“올 설·광복절·추석 때 성사 기대”
이산가족 상봉화상센터 점검 중
서울 중구 대한적십자사 직원들이 2일 이산가족 상봉화상센터에서 몇 년간 사용하지 않았던 장비들을 점검하고 있다. 북한이 평창동계올림픽 참가 의사를 밝히고,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고위급 남북당국 간 회담을 제의하는 등 남북 관계 복원 가능성이 엿보이면서 관련 기관들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호정 전문기자 hojeong@seoul.co.kr
이호정 전문기자 hojeong@seoul.co.kr
북한에 형제를 두고 온 실향민 김모(87)씨는 2일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조금만 더 지나면 이 땅의 실향민이 모두 세상을 뜨고 말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이어 “올해 설이나 광복절이나 추석 때라도 꼭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지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1일 신년사에서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표단을 파견할 용의가 있다고 밝히고, 이날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오는 9일 고위급 남북 당국회담 개최를 제의하면서 남북 대화의 물꼬가 트일 가능성이 높아지자 북한에 가족을 둔 실향민들의 가슴에 꺼져 가던 희망의 불씨가 되살아나는 분위기다.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교류가 재개되면서 이산가족 상봉도 이뤄질지 주목된다.
최근 북한의 핵 위협과 미사일 도발 등으로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이산가족 상봉은 2015년을 끝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산가족들은 기약 없는 단절에 ‘희망고문’을 당하고 있다고 호소한다. 특히 해가 갈수록 이들의 연령이 높아지면서 상봉 신청자 수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 세월이 흐르고 흘러 현재 남아 있는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대부분 80~90대가 됐다.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수는 5만 9159명으로 집계됐다. 1988년 이후 현재까지 집계된 총상봉신청자 13만 1282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7만 2123명(54.9%)이 사망했다. 이 가운데 상봉을 한 사람은 2만여명 선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최근 10년간 매년 3500명이 가슴에 응어리진 한을 풀지 못한 채 세상을 뜨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앞서 현대경제연구원은 이산가족들의 나이와 기대수명을 고려했을 때 2041년이 되면 이들 모두 사망하게 될 것이라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북한은 그동안 이산가족 상봉을 포함한 어떠한 인도주의 사업에도 호응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이번 김 위원장의 신년사와 2월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이 재개될 가능성도 조심스레 제기된다. 대북 전문가들은 개성공단이나 금강산 관광 재개, 대규모 경제 지원 등 경제 문제가 선제적으로 해결되면 이산가족 상봉도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소장은 “북한과 대화의 물꼬가 트여 경제적 타협점을 찾게 된다면 이산가족 상봉과 같은 인도적 사안도 빠른 시일 내에 풀리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8-01-0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