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71년 만에 ‘제주 4·3’ 유감 표명 “깊은 유감과 애도”

국방부 71년 만에 ‘제주 4·3’ 유감 표명 “깊은 유감과 애도”

오세진 기자
입력 2019-04-03 11:16
업데이트 2019-04-03 1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이 열린 3일 오전 유족들이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 내 행방불명인 표석을 찾아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고 있다. 2019.4.3 연합뉴스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이 열린 3일 오전 유족들이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 내 행방불명인 표석을 찾아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고 있다. 2019.4.3 연합뉴스
군과 경찰의 무력 진압으로 최대 약 3만명의 도민들이 학살당한 ‘제주 4·3’에 대해 국방부가 71년 만에 처음으로 유감을 표명했다.

국방부는 3일 “‘제주 4·3 특별법’의 정신을 존중하며 진압 과정에서 제주도민들이 희생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과 애도를 표한다”고 밝혔다.

제주 4·3은 1947년 3월 1일 미군정 경찰이 제주도민을 향해 발포한 사건을 시작으로, 좌익 진영 무장대가 1948년 4월 3일 일으킨 소요 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무장대와 군·경 토벌대 간 무력 충돌, 그리고 토벌대의 진압 과정에서 적게는 1만 4000여명, 많게는 약 3만명의 도민들이 학살당한 사건이다.

그동안 국방부는 제주 4·3은 군·경이 투입돼 무장봉기를 진압한 사건이라며 사과나 유감 표명을 하지 않고 있었다.

서주석 국방부 차관은 이날 제주 4·3 행사가 열리는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을 방문해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를 표할 예정이다.

민갑룡 경찰청장도 이날 광화문광장 행사에 참석해 희생자들에 대해 애도를 표하며 유감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