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0발 중 제대로 들어간 것은 15발, 탄착지점은 확인됐지만 빗나간 게 20발, 어디로 갔는지 아예 확인이 안 된 게 45발. 국가정보원이 2일 확인한 연평도 포격 도발 당시 우리 군이 대응사격한 K9 자주포 80발의 행적이다. 80발 가운데 15발은 북한 무도 해안포 기지 중대본부 진지 안에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8.75%의 적중률을 보인 셈이다. 무도를 겨냥한 대응사격을 할 때 북한 해안포 부대를 노리고 공격했다는 군의 설명은 일단 설득력을 얻게 됐다. 그러나 공격의 정확성 및 파괴도는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원이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의원들에게 공개한 무도지역 위성사진 2장에는 북한군 기지 내 막사 및 각종 지원시설의 모습과 함께 노란색 원으로 15발의 탄착 지점이 표시돼 있다. 이 사진은 연평도 도발 이틀 뒤인 지난달 25일 촬영한 것이다. 사진에는 바다에 인접한 쪽의 진지에 포탄 10발이 집중적으로 떨어졌으며, 나머지 5발의 흔적은 막사와 지원시설로 추정되는 건물 사이에 일렬로 형성돼 있었다.
그러나 막사를 비롯한 건물 주변으로 떨어진 포탄 흔적을 두고 K9 피해반경 25m와 얼마나 가까운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포토] 북 연평도 포격…추가 도발 긴장 고조
정보위 소속 한나라당 간사대행인 이범관 의원은 “중대본부 진지 안에 15발이 떨어져 인근에 사람이 있었다면 인명피해도 있었을 것”이라면서 “15발 가운데 막사 시설에 가장 인접하게 떨어진 한 발의 포탄의 경우 탄착 지점과 막사시설의 거리가 25m”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막사 이외에 북측 군사시설 중 가장 지근거리에 떨어진 2발의 포탄은 10m의 거리차를 둔다.”면서 “건물 일부는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민주당 간사인 최재성 의원은 “무도에 대응사격한 15발 대부분이 무도 지역에 떨어진 것은 맞다.”면서도 “국정원 측이 오전회의에서는 막사에서 가장 가까운 탄착지점은 50m라고 보고했지만 오후 회의에서 30m라고 수정, 브리핑 직전에는 또 다시 25m라고 보고했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대부분의 포탄은 50m보다 멀리 떨어졌다.”면서 “K9 자주포의 인명살상범위가 25m라는 점에서 우리군의 대응사격이 대체로 실패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앞서 공개한 위성사진까지 포함해서 따져 보면 무도 15발과 개머리지역 20발 등 모두 35발의 탄착지점이 확인됐다. 그러나, 개머리지역 20발(논밭에 떨어진 14발 포함)은 목표물에서 크게 벗어났고, 45발은 아예 탄착지점조차 확인되지 않았다.
홍성규·김정은·허백윤기자
kimje@seoul.co.kr
美서 찍은 北개머리 진지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가 해석을 달아 공개한 미국 전략정보전문기관 스트랫포의 ‘디지털글로브’ 위성사진. 신 대표는 “연평도 북서쪽 16.9㎞에 위치한 북한의 개머리 진지 후방 방사포대에서 식별된 K9 자주포탄 14발의 폭파구는 사거리 오차 100m를 넘지 않는 정확한 탄착군을 형성했다.”고 설명했다.
자주국방네트워크 제공
자주국방네트워크 제공
국정원이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의원들에게 공개한 무도지역 위성사진 2장에는 북한군 기지 내 막사 및 각종 지원시설의 모습과 함께 노란색 원으로 15발의 탄착 지점이 표시돼 있다. 이 사진은 연평도 도발 이틀 뒤인 지난달 25일 촬영한 것이다. 사진에는 바다에 인접한 쪽의 진지에 포탄 10발이 집중적으로 떨어졌으며, 나머지 5발의 흔적은 막사와 지원시설로 추정되는 건물 사이에 일렬로 형성돼 있었다.
그러나 막사를 비롯한 건물 주변으로 떨어진 포탄 흔적을 두고 K9 피해반경 25m와 얼마나 가까운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포토] 북 연평도 포격…추가 도발 긴장 고조
정보위 소속 한나라당 간사대행인 이범관 의원은 “중대본부 진지 안에 15발이 떨어져 인근에 사람이 있었다면 인명피해도 있었을 것”이라면서 “15발 가운데 막사 시설에 가장 인접하게 떨어진 한 발의 포탄의 경우 탄착 지점과 막사시설의 거리가 25m”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막사 이외에 북측 군사시설 중 가장 지근거리에 떨어진 2발의 포탄은 10m의 거리차를 둔다.”면서 “건물 일부는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민주당 간사인 최재성 의원은 “무도에 대응사격한 15발 대부분이 무도 지역에 떨어진 것은 맞다.”면서도 “국정원 측이 오전회의에서는 막사에서 가장 가까운 탄착지점은 50m라고 보고했지만 오후 회의에서 30m라고 수정, 브리핑 직전에는 또 다시 25m라고 보고했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대부분의 포탄은 50m보다 멀리 떨어졌다.”면서 “K9 자주포의 인명살상범위가 25m라는 점에서 우리군의 대응사격이 대체로 실패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앞서 공개한 위성사진까지 포함해서 따져 보면 무도 15발과 개머리지역 20발 등 모두 35발의 탄착지점이 확인됐다. 그러나, 개머리지역 20발(논밭에 떨어진 14발 포함)은 목표물에서 크게 벗어났고, 45발은 아예 탄착지점조차 확인되지 않았다.
홍성규·김정은·허백윤기자
kimje@seoul.co.kr
2010-12-03 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