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막상막하 SNS 대전

朴·文·安 막상막하 SNS 대전

입력 2012-10-18 00:00
업데이트 2012-10-18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싸이 VS 트위터 VS 페북

인터넷 민심인 ‘넷심’ 잡기에 대선 후보들이 열을 올리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주로 이용하는 20·30대 젊은 층 공략은 국외에 거주하는 재외국민의 표심까지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최상의 무기다. 후보들은 바쁜 와중에도 직접 글을 올리며 넷심 소통에 팔을 걷어붙이는 이유기도 하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의 트위터 팔로어는 22만 7000여명이다. 새누리당은 선대위에 SNS본부를 뒀고 SNS소통자문위원회도 만들었다. 박 후보도 트위터에 현장 방문 소감 등을 올리면서 네티즌과 소통하고 있지만 SNS 가운데서는 싸이월드 미니홈피에 강점을 보인다. 박 후보가 2004년 만든 미니홈피의 누적방문자는 1130만명. 최근에도 하루에 1000명 이상 새로 들어오고 있다. 미니홈피를 직접 관리하는 박 후보는 젊은 시절 모습, 서울 삼성동 자택 내부 모습 등을 올려 친근한 이미지를 주고 있다. 또 현안이나 정국에 대한 심경을 담은 글을 올리기도 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후보는 세 후보 가운데 가장 많은 팔로어(26만명)를 거느리고 있다. 문 후보는 정치에 입문하게 된, 고뇌에 찬 심경도 트위터를 통해 처음 알렸다. 캠프에도 선대위 산하 시민캠프에 SNS네트워크를 따로 뒀다. 또 선대위도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를 적극 활용한 선거운동을 벌이기로 의견을 모으기도 했다. 실제 지난 7월에는 정책 제안 사이트 ‘국민명령 1호’를 열기도 했다. 국민 누구나 이 사이트에 정책을 제안할 수 있고 이 가운데 투표를 통해 선정된 1위 정책은 문 후보가 당선되면 첫 번째 행정 명령으로 구체화할 예정이다. 정책에 크라우드 소싱 방식을 접목한 것이다. 크라우드 소싱은 전문가 등이 아니라 불특정 다수인 대중이 제품이나 지식을 만드는 과정에 참여하는 방법이다.

안철수 무소속 대선후보는 오붓한 대화가 가능한, 사랑방 성격의 페이스북을 주로 이용해 왔다. 진심캠프 대변인실 페이스북 페이지인 ‘안스 스피커’나 금태섭 상황실장이 운영하는 네거티브 대응팀 ‘진실과 친구들’을 출마 선언 초기부터 활용했다. 안 후보는 후보 3인 가운데 페이스북 게시물에 가장 많은 6만여건의 ‘좋아요’를 받았다.

지난 15일 개통된 안 후보의 트위터는 3일 만에 5만 5000명의 팔로어가 모였다.

안 후보는 지지자를 모으는데도 SNS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16일 도시락 번개미팅 참가자도 페이스북을 통해 신청받았고 18일 강원 속초를 방문할 때도 페이스북을 통해 신청하면 안 후보가 직접 방문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2-10-18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