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南이 긴급 접촉 거부… 군사 접촉도 비공개 요구”

北 “南이 긴급 접촉 거부… 군사 접촉도 비공개 요구”

입력 2014-10-17 00:00
업데이트 2014-10-17 0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통문 ‘분 단위’ 공개

북한이 16일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밝힌 남북 군사당국자 접촉 진행 과정은 ‘전말’을 공개했다고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이다. 북측은 우리 측이 세 번째 접촉 요구를 받고서야 제안에 응했으며, 접촉에서도 북측 제안을 대부분 거부하는 등 사실상 대화 의지가 없었다고 비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상호 총격 사건’ 발생 직후 이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긴급 접촉을 하자는 ‘각서’(전통문)를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에게 보냈지만 남측이 북방한계선 준수를 요구하며 북측의 ‘긴급 접촉’ 제안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같이 주장하며 당시 전통문이 오간 시간을 ‘분 단위’까지 구체적으로 적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북측이 서남해상에서 긴장 완화를 위한 방안으로 “예민한 수역과 선을 넘지 않는 문제, 고의적 적대 행위가 아니면 선(先)공격하지 않기, 충돌을 야기할 수 있는 현 교전수칙 수정, 대화와 접촉을 통한 문제 해결 등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국방부가 이날 서해상의 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것과 상반된 입장을 보인 것이다.

북한은 이번 군사 접촉을 비공개로 하자고 요구한 것은 남측이었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비공개를 요구한 것은 북한 측이었다는 취지로 언론을 이해시킨 것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대목이다. 국방부는 “북측이 지난 8일 긴급 접촉 제의를 다시 제안함에 따라 (우리가) 15일 ‘비공개 군사당국자 접촉’을 개최할 것을 제의했다”며 “북측이 이를 수용해서 성사됐고, 14일 대표단 명단 통보 시 ‘비공개 접촉’임을 명시해 통보해 왔다”고 해명했다.

이날 북한의 즉각적인 대응에 대해 정부가 현재처럼 모르쇠로 일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당시 남북 간 전통문 내용의 ‘원본’을 그대로 공개하지 않는 이상, 실시간 진행 상황을 중계하듯 밝힌 북한의 주장이 ‘팩트’에 더 가까운 것 아니냐는 의구심은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4-10-17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