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에 생존자 없는 것으로 추정”

“함수에 생존자 없는 것으로 추정”

입력 2010-03-29 00:00
업데이트 2010-03-29 14: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은 침몰한 해군 초계함인 천안함의 함수 부분에는 생존자가 없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9천t급 구축함 두동강나는 실험모습        (대전=연합뉴스) 정윤덕 기자 = 300㎏ 폭약의 어뢰를 9천t급 구축함 2∼3m 아래서 폭발시켜 구축함을 두동강내는 실험 모습. 1999년 6월 15일 호주에서 진행된 이 실험 당시 어뢰 폭발에서 구축함이 두동강날 때까지 5초 가량밖에 걸리지 않았다.
9천t급 구축함 두동강나는 실험모습

(대전=연합뉴스) 정윤덕 기자 = 300㎏ 폭약의 어뢰를 9천t급 구축함 2∼3m 아래서 폭발시켜 구축함을 두동강내는 실험 모습. 1999년 6월 15일 호주에서 진행된 이 실험 당시 어뢰 폭발에서 구축함이 두동강날 때까지 5초 가량밖에 걸리지 않았다.


☞해군 천안함 침몰…긴박한 사고 및 수색현장

 국방부는 29일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 보고자료를 통해 “전날 오후 7시23분께 함수에 위치표식 부표를 설치한 이후 오늘 오전 8시13분께 해난구조대(SSU) 잠수요원이 잠수해 망치로 선체외부를 여기저기 두드려 봤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이와 관련,“군은 함수에는 생존자가 없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이미 함장을 비롯한 구조자들이 함정이 침몰할 당시 함수부분에 있는 장병들을 모두 확인했다고 진술하고 있기 때문에 함수부분에는 실제 실종자들이 거의 없었을 확률이 높다”며 “따라서 실종자가 함수에 있고,그들이 사망했다고 단정 짓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군은 실종자가 주로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함미 부분은 아직 생존 여부 확인 작업을 하지 못했다며 오후에 관련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그는 전했다.

 또 국방부는 실종자 탐색 구조작업과 관련,수심 40m 이상은 광양함의 심해잠수장비를 이용하고 40m 이내는 스쿠버 잠수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침몰함의 인양 준비를 위해 평택에 있는 3천t급 바지선을 이달 31일 현장에 투입한 뒤 다음 달 3일까지는 통영에 있는 2천200t급 해상크레인을 사고 지점에 도착하도록 조치했다.

 선체 인양은 격실을 밀폐하고 공기를 주입해 양성부력을 생성할 수 있으면 곧바로 예인하고 양성부력이 제한된다면 바지선에 적재할 것이라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