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0년 설립… 프랑스 3대 ‘명품’

1530년 설립… 프랑스 3대 ‘명품’

입력 2010-07-03 00:00
업데이트 2010-07-03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프랑스에 있어서 절대 없어서는 안 되는 세 가지를 꼽으라면 에펠탑, 파스퇴르연구소, 콜레주 드 프랑스다.”

샤를 드골 전 프랑스 대통령의 이 발언은 콜레주 드 프랑스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자부심을 그대로 나타낸다. 1530년 ‘모든 것을 가르치는 사명감’을 대학에 심기 위해 프랑수아 1세가 설립한 뒤로 9명의 노벨상 수상자, 4명의 필즈메달 수상자를 배출했다. 노벨 문학상을 받은 앙리 베르그송과 철학자이자 작가인 미셸 푸코도 이 학교 교수였다.

프랑스의 다른 대학 교수는 교육부 장관이 임명하지만 콜레주 드 프랑스의 교수만은 모두 대통령이 임명한다. 교수 자리는 52개로 정해져 있다. 교육과정은 수학, 자연과학, 철학, 사회학, 역사학, 언어학, 고고학 등 7개 카테고리로 나뉘어 있다.

현대세계연구소, 생물연구소 등 4개의 대형 부설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학 연구소도 있다. 연간 운용 예산은 1480만유로(약 226억원)이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07-03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