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국새 만들고 남은 순금 200돈 행방묘연

새 국새 만들고 남은 순금 200돈 행방묘연

입력 2010-08-18 00:00
업데이트 2010-08-18 08: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7년 새로 만든 4대 국새(國璽)가 전통 방식이 아닌 현대식으로 제작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데 이어 이 국새를 제조하고 남은 금(金) 200여 돈의 행방도 묘연해 또다른 파장이 예상된다.

18일 국새제작단원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2007년 당시 국새 제작을 위해 순금 3천g을 구입해 실제 사용한 금은 인뉴(상부)와 인면(하부)을 합해 약 2천53g인 것으로 확인됐다.

주물 후 남은 금은 당시 국새 주물을 담당한 장인 A씨가 국새 제작단장인 민홍규씨에게 건넨 것으로 파악됐다.

민씨에게는 당시 국새 제작에 사용된 금 2천53g과 주물 과정에서 소실된 전체 금의 3∼5%를 제외하고 약 800∼900g(213돈∼240돈)이 전달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800∼900g은 현재 시가로 3천700만원∼4천100만원에 달하는 양이다.

주물 과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민홍규씨가 약 800g 정도를 가져간 것으로 알고 있다. 나랏돈으로 구매한 금을 개인이 쓴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새 제작 단원으로 참가했던 다른 관계자도 “A씨가 민씨에게 남은 금을 전달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의 금이 민씨에게 전해졌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현재 관련 자료를 찾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A씨는 “국새 위상이 추락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며칠 지나면 모두 말하겠다. 지금은 얘기하기 곤란하다”며 말을 아꼈다.

이러한 상황에서 행안부와 국립민속국립박물관은 사실상 세금으로 제작된 국새의 나머지 금에 대한 의혹에 방관적인 자세를 보이는 등 국새 제작 이후의 관리, 감독 체계가 부실한 것으로 드러나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 관계자는 “국새제작단과 일괄 계약했기 때문에 제작단이 계약 안의 범위에서 금을 쓰는 것이다. 얼마의 금이 들어갔는지, 금이 어느 정도 남았는지 우리로서는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국새백서를 편찬한 국립민속박물관 관계자도 “우리는 국새 제작을 관리, 감독하는 기관이 아니다. 제작 과정에서 확인된 부분만 백서에 담았을 뿐 얼마의 금이 사용됐고 남았는지 모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민씨 측은 “(민) 선생님과 연락이 안 되고 있다. 다음에 말씀드리겠다”고 전해왔다. 연합뉴스는 민씨와 수차례 직접 접촉을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