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비자금 수사] 우리銀, C&그룹 특혜대출 논란

[대기업 비자금 수사] 우리銀, C&그룹 특혜대출 논란

입력 2010-10-26 00:00
업데이트 2010-10-26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검찰수사 전개방향 부담… 매각악재 우려

오는 29일 입찰 공고를 시작으로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 작업이 본격화된다. 하지만 인수 희망의 두 축인 우리은행이 C&그룹의 특혜대출 의혹 시비에 휘말린 데다 하나금융지주도 최대주주의 이탈로 인수합병(M&A)을 위한 자금 마련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여 매각 작업에 차질이 우려된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이 C&그룹 대출을 둘러싸고 검찰발(發) 돌출 악재를 만났다. 강력한 경쟁자인 하나금융의 1대 주주인 ‘테마섹’이 최근 보유 지분을 매각해 독자 민영화에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줬지만 C&그룹의 대출 불똥으로 다시 불투명해졌다.

우리금융 측은 박해춘 전 우리은행장 시절의 문제로 검찰 수사가 현 경영구도와 재무구조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럼에도 독자 민영화를 추진하는 우리은행으로서는 검찰 수사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몰라 부담이 적지 않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앞으로 검찰 수사가 진행되면 관련자를 소환하거나 이런저런 것들을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검찰 수사와 독자 민영화는 별개의 일이므로 매각 작업에 큰 차질은 없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C&그룹의 부당 대출과 관련해 전면 부인하고 있다. 우리은행 측은 “채권보존과 여신승인 절차를 거쳤기 때문에 부실 대출이라고 주장하면 우리로서는 억울하다.”면서 “특히 대출 승인의 최종 결정회의인 여신협의회에서는 은행장이 개입할 수 없는 만큼 특혜 대출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박해춘 전 우리은행장의 동생인 박택춘씨가 2007년 자금난을 겪던 C&중공업의 사장으로 선임되고, 또 우리은행 출신 임원들이 C&우방 등 C&그룹 계열사로 대거 이동했다는 점은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 당시 우리은행 내부에서도 박 전 행장의 동생이 C&그룹 계열사 임원이었던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C&그룹에 대한 우리은행 여신 규모는 2008년 기준으로 총 2274억원이었다. 담보 대출은 1635억원이며, 신용 대출은 639억원이다. 계열사별로는 C&중공업이 1367억원, C&우방랜드 85억원, C&구조조정 800억원, 기타 22억원 등으로 이뤄졌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0-10-26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