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심판’ 안 먹히고 야권 단일화 과정 길어 ‘피로감’
경남엔 ‘정권 심판’도 없었고 ‘낙동강발(發) 동남풍’ 도 없었다.19대 총선 개표 결과 새누리당이 16석 가운데 민주당과 여권성향의 무소속 후보에 2석만 내주고 14석을 차지했다.
18대에 야당 3석과 무소속 1석 등 4석을 내주고 17대에 3석을 내줬으나 이번에 악조건 속에 선전이 아니라 오히려 약진한 것이다.
선거 초반 야권이 단일화를 무기로 과반수까지 바라봤던 점을 고려하면 놀라운 성적이다.
야권은 그 후 목표를 5석 전후로 낮췄지만 경합지역으로 분류되던 곳에서도 줄줄이 무너졌다.
낙동강 양안지역으로 당선을 기대했던 양산, 김해 갑, 김해 을을 비롯해 창원갑, 창원 을, 거제 등 야 3당이 당선을 기대했던 지역들 가운데 김해갑 한 곳에서만 당선자를 내는데 그쳤다.
새누리당 경남도당은 압승 요인으로 후보 자질이 앞섰고, 불법 사찰 등 정권심판론이 먹히지 않은 점 등을 들었다.
옛 한나라당 시절부터 이어져온 ‘전통적 정서’가 여전했고 선거 국면에서 결집력을 발휘한 것도 큰 요인으로 꼽았다.
박근혜 위원장이 박빙지역을 중심으로 3차례나 찾은 것도 후보들에겐 ‘천군만마’였다.
여느 선거와 달리 이번 총선 공천 과정에서 현역 탈락이 적지 않았는데도 모두 승복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지 않은 점도 눈에 띄었다.
이방호(사천ㆍ남해ㆍ하동) 전 의원은 무소속으로 출마해 여상규 후보 당선을 도와준 격이 됐고 ‘중앙선관위 디도스 공격’ 사건으로 탈당한 최구식 의원도 새누리당 공천자의 벽을 넘지 못했다.
친여 무소속 돌풍이 없었던 것도 같은 이유다.
15곳에 단일후보를 낸 야권은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민주당, 통합진보당, 진보신당은 창원성산을 제외한 15곳에서 무소속까지 포함한 단일후보 전략을 구사했지만 결과는 참담했다.
민주당 도당 측은 단일화 과정이 너무 길고 힘들어 후보들은 지쳤고 도민들은 식상하고 짜증났을 것이라고 실토했다.
통합진보당과 진보신당의 단일화 줄다리기는 도내 전역에 영향을 미쳤고 창원성산에서는 결국 진보 후보 2명이 새누리당 후보와 대결을 벌여 둘 다 쓴 잔을 마셨다.
특히 창원성산은 권영길 의원이 ‘진보대통합’을 명분으로 불출마를 선언한 ‘진보정당의 1번지’라는 상징성을 갖고 있는 터여서 야권으로선 아쉬움이 더 컸다.
경남 야권은 ‘문ㆍ성ㆍ길(문재인ㆍ문성근ㆍ김정길)’이 버틴 부산과 달리 스타급 후보가 없었고 문재인 후보, 조국 교수, 강금실 전 장관 등의 지원 사격도 김해를 넘어서지 못한 점도 한계로 지적했다.
진보신당이 유일하게 지역구 당선을 기대했던 거제의 김한주 후보도 낙선, 당의 존폐가 기로에 섰다.
신한국당 사무총장 출신으로 정계 복귀를 노렸던 강삼재(의령ㆍ함안ㆍ합천) 무소속 후보 역시 참패를 맛봤다.
야권은 비록 참패했지만 전 지역 단일후보들의 지지율이 높아진 것을 한 가닥 위안으로 삼고 있다.
이 분위기가 연말 대선과 다음 선거에서는 어떻게 나타날 지 추이가 주목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