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 한인4세 “독립투사 증조부 나라 대학생…꿈만 같아”

쿠바 한인4세 “독립투사 증조부 나라 대학생…꿈만 같아”

입력 2013-02-28 00:00
업데이트 2013-02-2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자리아 임 한남대 입학

독립운동가 후손인 쿠바의 한인 4세가 어려운 과정을 거쳐 할아버지 나라의 대학에 다니게 됐다.

이미지 확대
아자리아 임
아자리아 임
아자리아 임(20·여)은 다음 달 4일 한남대의 영어전용 특성화 단과대인 린튼글로벌칼리지에 입학한다. 아자리아 임은 “할아버지가 그토록 그리워하던 한국 땅을 밟고 있다는 사실이 꿈만 같다. 4년간 대학에 다니면서 한국의 경제, 문화, 과학 등 놀라운 발전상을 빠짐없이 배우고 싶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임천택 선생
임천택 선생


그의 증조부는 일제강점기 때 쿠바 이주 1세대로 이역만리 타국에서 항일운동을 펼친 임천택(1903~1985) 선생이다. 경기 광주에서 태어나 일본 동양척식주식회사에 의해 멕시코 애니깽 농장으로 팔려갔다가 18세 때 쿠바로 이주한 뒤 대한인국민회 쿠바지방회를 설립해 독립운동을 펼쳤다. 김구 선생이 이끄는 임시정부가 재정난에 허덕일 때는 쿠바 교민을 상대로 모금운동을 벌여 군자금을 보냈다. 정부는 임 선생의 공적을 기려 1997년 사회주의 국적으로는 최초로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고 그의 유해를 옮겨와 대전 현충원에 안장했다.

임 선생의 증손녀인 아자리아 임이 한국에 유학을 온 것은 한남대 중국통상학과 정명기 교수와 만나면서다. 정 교수가 2011년 쿠바를 찾았다가 교포로부터 임 선생 후손 얘기를 듣고 도운 것이다.

하지만 아자리아 임이 수시모집 외국인 전형으로 한남대에 합격하기까지는 수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쿠바가 사회주의 국가로 미수교국이었기 때문이다. 몇 개월간 서류 증명과 까다로운 심사를 거쳤다. 쿠바 한인협회의 도움으로 한글 공부에도 매달렸다. 우여곡절 끝에 양국 정부가 임 선생의 공적을 인정해 한국 유학을 허가하면서 길이 열렸다.

아자리아 임은 “쿠바에서 가수 싸이 열풍이 대단해 한국 피가 흐르는 것에 큰 자부심을 느낀다”면서 “글로벌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해 졸업 후 한국 기업에서 일하고 싶고, 쿠바에 돌아가면 한국문화 전도사가 되겠다”고 밝혔다.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3-02-28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