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고 학생도 외고·과학고서 수업 듣는다

일반고 학생도 외고·과학고서 수업 듣는다

입력 2013-02-28 00:00
업데이트 2013-02-28 15: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교육청, 5~6개교 묶어 거점학교 1곳 지정…자율학교 신규지정은 철회

올해 2학기부터 일반고에 다니는 학생들이 인근 외고, 과학고에서 외국어나 과학 수업을 들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지역별로 예·체능이나 과학, 외국어에 소질이 있는 학생들을 모아 관련 교과목을 집중적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 거점학교’ 제도를 2학기부터 시범운영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문용린 서울시교육감은 지난 6일 올해 업무계획 발표에서 핵심공약인 ‘일반고 점프-업 프로젝트’의 하나로 교육과정 거점학교를 운영한다는 방침을 간략히 예고한 바 있다.

시교육청은 지역별로 5∼6개 고교를 하나의 군(群)으로 묶고 이 가운데 한 학교를 예술, 체육, 과학, 외국어를 중점 교육하는 거점학교로 지정해 운영하도록 할 방침이다.

서울 지역 일반고가 총 180개교가 있으므로 이를 5~6개교씩 묶으면 교육과정 거점학교는 향후 30~40개교가 지정될 전망이다.

특히 일반고는 물론 예술고나 체육고, 과학고, 특성화고도 교육과정 중점학교로 지정될 수 있게 했다.

이 경우 외고 인근 일반고에 다니는 학생은 외고에서 외국어 과목을, 과학고 인근 일반고에 다니는 학생은 과학고에서 과학 심화과목을 공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를 위해 일반고의 교과 필수 이수단위를 현행 116단위에서 72단위로 감축해 운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병호 서울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은 “그동안 일반고가 특목고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침체해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며 “일반고 학생들이 특목고에 가서 교사 등 그 학교 자원을 활용해 공부할 기회를 열어줄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교육과정 거점학교와 별도로 체육, 음악, 미술, 공연·영상, 과학 등 분야별 집중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중점학교’도 교육과학기술부와 협의해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또 실용음악이나 조리, 미용, 제과, 건축 디자인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직업교육 거점학교를 지정해 진로직업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문 교육감이 지난 6일 업무계획 발표에서 밝혔던 ‘자율학교 20개교 신규지정’ 계획은 철회하기로 했다.

정익교 서울시교육청 학교혁신과장은 “일반고에서도 체육, 음악, 미술 등의 과정을 개설하면 교과 필수 이수단위를 72단위로 감축할 수 있어 굳이 자율학교로 지정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