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행정부 조직실 6개월만에 명패 되찾아

안전행정부 조직실 6개월만에 명패 되찾아

입력 2013-09-30 00:00
업데이트 2013-09-30 07: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직사회에서 ‘슈퍼갑’으로 통하는 안전행정부 조직실이 새 정부 들어 잃어버렸던 명패를 6개월 만에 되찾았다.

안행부 조직실은 정부부처의 ‘조직과 인원’ 업무를 쥐고 있어 ‘돈’을 쥐고 있는 기획재정부 예산실과 함께 대표적 관관로비 대상으로 꼽히고 있다.

30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최근 공포된 안행부와 그 소속기관의 직제 개정안에 따라 ‘창조정부전략실’은 ‘창조정부조직실’로 명패를 바꿔달게 됐다.

안행부 조직실은 새 정부의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지난 3월 22일 새 정부의 국정운영패러다임인 정부 3.0 추진을 위해 창조정부전략실로 개편됐다.

하지만 이 부서의 핵심적 기능인 정부의 조직 및 정원 관리가 부서명에 포함돼 있지 않아 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6개월여만에 창조정부조직실로 이름을 바꿔달게 됐다.

조직실의 명패는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정부혁신본부 조직혁신단, 이명박 정부 시절에는 조직실,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고 나서는 창조정부전략실로 바뀌어 왔다.

안행부 관계자는 “창조정부전략실이라는 이름에는 이 부서의 핵심 기능인 조직기능이 나타나지 않아 이름을 바꿔달게 됐다”면서 “부서의 이름에는 기능이 잘 반영돼야 하며, 문제가 있으면 직제개정 수요 등이 있을 때 바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새 정부 들어 조직실이 ‘조직’이라는 이름이 빠진 이름을 갖게 됨에 따라 다른 부처에서 조직과 정원관리를 담당하는 부서가 어디냐는 문의가 잇따르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본부 기준 정부 내 최대부처인 안행부는 이번 조직개편으로 본부 기준 정원이 1천146명에서 1천179명으로 33명 늘어나게 됐다.

지방세입 납부체계 개선을 위해 5명, 개인정보보호 및 정부 3.0 추진을 위해 10명을 늘렸다. 산하기관에서는 지방행정연수원에 3명, 국가기록원에 2명, 정부청사관리소 세종청사 관리를 위해 66명, 정부통합전산센터에 8명이 각각 증원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