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노사 파업 12일만 협상타결…합의내용은

서울대병원 노사 파업 12일만 협상타결…합의내용은

입력 2013-11-04 00:00
업데이트 2013-11-04 17: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병원 노사가 파업에 돌입한 지 12일 만인 4일 임단협을 타결했다.

이로써 총 조합원 1천500여 명 가운데 파업에 참가했던 500여 명은 오는 5일 오전 5시를 기해 업무현장에 복귀할 예정이다.

서울대병원 노조는 ▲의사성과급제 및 선택진료제 폐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및 인력충원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지난달 23일부터 파업을 벌여왔다.

다음은 노사가 합의한 주요 내용이다.

◇의사성과급제 및 선택진료제 문제 = 노조는 그동안 서울대병원이 과도한 의사성과급제와 선택진료비 때문에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한 채 돈벌이 경영을 한다고 주장하면서 두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요구해왔다.

이번 합의안에서 병원 측은 포괄적으로나마 선택진료 운영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 성과급제로 인해 의사들이 환자를 최대한 많이 받으려 진료를 제대로 하지 않는 노조의 지적에 대해서는 병원 측이 세션(session) 당 외래환자 수를 적정하게 유지해 문제를 해결하기로 했다.

아울러 병원의 비급여 항목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병원 홈페이지와 전자게시판 및 접수창구 비용검색 전용 컴퓨터 등을 통해 환자와 보호자가 사전에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게시하고 안내하기로 합의했다.

◇비정규직·어린이병원 식당 외주 문제 = 노조는 병원 측이 인건비를 아끼는 데 급급한 나머지 충분한 인력을 확보하지 않고 비정규직으로 채우는 임시방편을 쓴 탓에 의료 서비스 질이 떨어져 환자들이 피해를 본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따라 이번 협상에서 노사는 해당 정부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정규직 정원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노력하고 무기계약직 가운데 100명을 이사회 승인을 받은 뒤 관련 절차를 거쳐 2014년 내에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합의했다.

또 꼭 필요한 부서를 중심으로 인력을 충원하고 병원 내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조직문화 개선에도 힘쓰기로 했다.

노조 측은 “원래 목표보다는 만족스럽지 않지만 앞으로 비정규직 문제의 본질을 해결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병원 측은 어린이병원 환자급식 외주화를 철회하라는 노조의 요구와 관련, 환자급식 직영 여부를 2014년 내에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노조는 그동안 외주업체의 위생관리가 부실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며 식당을 직영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임금 인상 = 노사는 임금 인상안에서 가장 첨예하게 대립해왔다.

노조는 최소 시간당 1천 원이 올라야 한다며 20만 9천 원 정액 인상, 총액 기준 13.7% 인상을 주장했으나 병원 측은 경영 악화를 이유로 임금 동결을 고수해왔다.

이번 협상에서 노사는 임금을 정률 1.3% 인상(정액 월 1만 5천 원 인상)하기로 합의했다.

또 위험수당을 월 3만 원 인상하고, 가계보조수당을 월 7천∼8천 원 올리기로 했다.

노조 측은 “이는 정부가 발표한 공공기관 임금인상 지침에 준하는 인상안”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