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때문에 이별했던 加 형제, 60년만에 만나다

6·25 때문에 이별했던 加 형제, 60년만에 만나다

입력 2013-11-09 00:00
업데이트 2013-11-09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캐나다 참전용사의 두 아들 한국서 극적 상봉

6·25 전쟁 때 전사한 캐나다 참전 용사의 두 아들이 60년 동안 서로 존재를 모르고 지내다가 한국에서 상봉했다. 영화에 나올 법한 사연의 주인공들은 1952년 9월 5일 경기도 연천의 355고지 전투에서 전사한 앙드레 레짐발드의 두 아들 앙드레 브리즈브아(64)와 레오 드메이(60).

6·25 전쟁 때 사망한 캐나다 참전용사의 두 아들 앙드레 브리즈브아(왼쪽·형)와 레오 드메이 형제가 8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유엔기념공원 안장자 유족 초청 행사에서 60년 만에 상봉해 활짝 웃고 있다.
6·25 전쟁 때 사망한 캐나다 참전용사의 두 아들 앙드레 브리즈브아(왼쪽·형)와 레오 드메이 형제가 8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유엔기념공원 안장자 유족 초청 행사에서 60년 만에 상봉해 활짝 웃고 있다.
전장에 투입된 첫째날 밤 포격을 맞고 스무 살의 나이로 레짐발드가 사망했을 당시 형은 세 살, 동생은 어머니의 뱃속에 있었다. 둘의 생모는 각각 다른 사람이었지만 둘 다 남편 없이 아들을 키우기엔 벅찼던 모양이다. 1953년쯤 두 형제는 각각 다른 집안에 입양됐고, 서로의 존재조차 모른 채 자랐다.

‘한국전쟁’에서 숨진 아버지를 먼저 찾아낸 것은 동생이었다. 태어난 지 13일 만에 보육원에 넘겨졌고, 곧 입양된 동생은 2006년 생모를 만나 생부의 이름과 참전용사란 사실을 알게 됐다. 아버지가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된 사실을 확인한 동생은 2006년 4월 한국을 처음 방문했고, 2008년에는 아예 이주해 유엔기념공원 관리인으로 제2의 인생을 살기 시작했다. 아버지의 전사 사실을 알고 있던 형은 지난 7월 캐나다 언론 ‘오타와 시티즌’에 동생의 사연이 나온 것을 보고 비로소 진실을 알게 됐다.

8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형 브리즈브아는 “아버지가 6·25 전쟁 때 전사한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동생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고 놀랐다”면서 “한국에 있는 동생에게 (이메일로) 연락을 했고 60년 만에 만났다”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동생 드메이도 “올 크리스마스 때는 캐나다 오타와에 있는 형의 집을 방문하고 싶다”고 말했다.

국가보훈처의 영연방 6·25 전사자 초청 행사에 참가 중인 형제는 이날 전쟁기념관의 유엔참전용사 전사자 명비를 찾아 헌화했다. 11일에는 유엔기념공원에서 개최되는 추모식에 참석하고, 이어 판문점도 방문할 계획이다. 드메이가 유엔기념공원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6·25 전쟁을 다룬 책 ‘워 리플’(War Ripple)은 11일 발간된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11-09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