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때 ‘직업안정’ 가장 중시…여유·성취·금전 순

취업때 ‘직업안정’ 가장 중시…여유·성취·금전 순

입력 2014-10-27 00:00
업데이트 2014-10-27 1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근로자 3천148명 직업가치관 조사…10년 전엔 성취 1위, 직업안정 3위

취업자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직업의 안정성’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05개 직업군의 성인 재직 근로자 3천148명을 상대로 직업가치관 검사를 해보니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직업가치관 검사는 성취, 봉사, 직업안정 등 직업선택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13가지 항목에 대한 개인의 중요도를 측정한 것이다.

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성인 근로자들은 직업선택에서 직업안정을 가장 중시하고, 몸과 마음의 여유(2순위), 성취(3순위), 금전적 보상(4순위) 등에도 높은 점수를 줬다.

2004년에 한 같은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이번에 1순위에 오른 ‘직업안정’은 10년 전에는 3순위였으며 ‘몸과 마음의 여유’는 10년 전에도 2순위였다.

’금전적 보상’은 10년 전에 7순위였지만 이번엔 4순위로 올라갔고, 10년 전에 1순위였던 ‘성취’는 3순위로 내려앉았다.

’봉사’나 ‘애국’은 10년 전보다 더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2004년도 조사와 비교할 때 ‘봉사’는 10순위에서 11순위로, ‘애국’은 11순위에서 13순위로 각각 하락했다.

이는 자신의 일을 통해 타인이나 국민에게 기여하고자 하는 동기는 낮아지고 있는 반면 안정, 몸과 마음의 여유로움을 중시하는 경향은 더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직업 가치관을 연령별로 비교해도, 취업자들은 나이와 상관없이 대부분 ‘직업안정’과 ‘몸과 마음의 여유’를 직업 선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간주했다.

다만, 청년층은 ‘애국’ 요인을 직업선택 시 가장 덜 중요(13순위)하다고 여겼지만, 40대와 50대는 ‘애국’을 각각 9순위와 10순위로 꼽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직업 선택 때 국가나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의미다.

이효남 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계약직이 늘고 40∼50대 조기퇴직이 증가하는 등 고용환경이 변하면서 구직자들이 안정된 직업을 가지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과도한 경쟁보다 몸과 마음이 여유로운 근로 환경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인의 직업가치가 충족될 때 직무만족과 성과도 높아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업과 정부 등은 고용안정과 정년보장,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한 근로환경 조성 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