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 위 특허전쟁’…스마트워치 특허 출원 증가

‘손목 위 특허전쟁’…스마트워치 특허 출원 증가

입력 2014-11-23 00:00
업데이트 2014-11-23 1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마트워치 시장에 삼성과 애플 등 정보통신기술(ICT) 업체가 잇달아 진출하면서 특허출원도 급증하고 있다.

23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1년 11건, 2012년 10건이던 스마트워치 특허출원이 지난해 143건, 올해 11월 현재 136건으로 지난해부터 급증하고 있다.

특허 가운데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서비스 분야가 36.8%로 출원비율이 가장 높았다.

혈압, 맥박, 심전도 등 생체신호를 측정해 스트레스와 생체나이를 측정하는 헬스케어, 체지방을 측정해 운동을 지도하는 피트니스 기능, 골프스윙 측정, 칫솔질 가이드 등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눈에 띈다.

스마트워치의 탈부착 기술, 스마트워치의 움직임 인식을 통한 문자·터치패드 입력, 음성인식을 통한 입력기술 등도 30%를 차지했다.

저전력기술, 스마트워치 제어 등 웨어러블(착용) 기기 최적화 기술이 22%, 디스플레이·배터리·메모리 등 하드웨어 기술이 11.2%로 나타났다.

스마트워치는 시간 확인 등 기존 시계 기능에서 진화해 전화, 메시지, 달력, 메모, 음악제어, 건강관리 등 스마트폰과 연동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해주는 손목시계형 웨어러블 기기를 의미한다.

특허청의 한 관계자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수요가 줄고 단가가 하락해 시장 성장률이 둔화하면서 IT 기업들이 새로운 수요 창출을 위해 웨어러블 기기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며 “스마트워치가 웨어러블 기기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특히 건강관리 기능은 의료산업과도 연결되는 만큼 스마트워치의 성장가능성이 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