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신부전증, 65세 이상 노인이 9배나 많아…원인은?

만성 신부전증, 65세 이상 노인이 9배나 많아…원인은?

입력 2015-05-17 14:28
업데이트 2015-05-17 14: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콩팥의 사구체에 문제가 생겨 주로 알부민으로 구성된 단백이 소변을 통해 빠져나가는 질환인 신증후군은 조기에 치료해야 신부전 등 치명적인 2차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사진은 신증후군 환자의 콩팥을 초음파 영상으로 진단하는 양철우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콩팥의 사구체에 문제가 생겨 주로 알부민으로 구성된 단백이 소변을 통해 빠져나가는 질환인 신증후군은 조기에 치료해야 신부전 등 치명적인 2차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사진은 신증후군 환자의 콩팥을 초음파 영상으로 진단하는 양철우 교수.
서울성모병원 제공
만성 신부전증, 65세 이상 노인이 9배나 많아…원인은?

만성 신부전증

만성 신부전증’이 65세 미만보다 65세 이상 노인에게 9배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신부전증은 고혈압이나 당뇨가 있는 환자에게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조기 검진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09∼2013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에 따르면 만성 신부전증(질병코드 N18)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2009년 9만 96명에서 2013년 15만 50명으로 매년 평균 13.6%씩 증가했다.

증가세가 큰 것은 인구 노령화로 노인 진료 인원이 늘었기 때문이다. 만성신부전증은 주로 노인 인구에서 많이 나타난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65세 이상이 1402명으로, 65세 미만의 159명보다 8.8배나 높았다. 65세 미만 대비 65세 이상의 배율은 남성이 10.1배로 여성의 8.1배보다 더 컸다.

진료 인원은 여성보다 남성이 1.6배 많았는데, 연령대가 높을수록 차이가 커서 65세 이상에서는 남성 환자가 여성 환자보다 2.0배나 많았다.

만성신부전증은 콩팥의 구조적 혹은 기능적 손상으로 인해 콩팥 기능이 3개월 이상 계속 떨어져 있는 질환이다.

주요 발병 원인으로는 당뇨, 고혈압이 지목되며 과도하게 염분을 섭취하거나 소염진통제 같은 약물이나 조영제 등의 검사를 남용했을 때에도 발생한다.

신장 기능의 손상이 어느 정도 수준을 넘어서기 전까지는 환자가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해 진단이 늦어질 수 있으므로, 고혈압이나 당뇨가 있는 환자는 주기적인 혈액검사와 소변검사로 조기에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신부전증이 악화하면 소변의 양이 줄어들고 빈혈, 전해질 이상, 혈액응고 장애, 혈압 상승, 심혈관 질환, 대사성 골질환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말기로 가면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치료가 불가피해진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