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부정승차 50·60대가 절반…2호선 최다

지하철 부정승차 50·60대가 절반…2호선 최다

입력 2016-03-31 07:15
업데이트 2016-03-31 07: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메트로 1∼4호선 2주간 부정승차 특별단속…961건 적발

지하철 1∼4호선 부정승차자의 절반가량이 50·6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는 7∼18일 부정승차 특별단속을 벌여 961명을 적발, 3천967만 7천원의 부가금을 징수했다고 31일 밝혔다.

적발된 승객의 연령은 50대와 60대가 각각 24.4%, 19.5%였다.

10대는 16.9%, 20대는 14.1%, 30대는 11.6%, 40대는 11.8%였다.

서울메트로는 장년층의 부정승차 건수가 높은 이유는 노인용 무임승차권(시니어패스)을 타인에게 양도받거나 대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선별로는 2호선이 538건으로 전체 적발 건수의 5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4호선이 253건, 3호선이 88건, 1호선이 82건으로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62%로 남성보다 많았다.

유형별로는 승차권 없이 지하철을 타는 무표승차가 전체 부정승차자의 56%로 가장 많았다.

우대권(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대상자가 아닌 승객이 우대권을 부정하게 사용한 경우도 299건에 달했다.

서울메트로 부정승차 단속 건수는 2014년 1만 4천538건에서 지난해 2만 1천431건으로 30% 이상 늘었다.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부정승차는 범죄라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홍보 활동을 적극적으로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