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민중총궐기를 주도한 혐의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복역 중인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문재인 정부 첫 특별사면에서 제외된 것에 대해 담담한 심경을 밝혔다.
한상균 전 위원장은 “사면은 기대도 하지 않았다”면서 “(정부의) 결정에 대해 조금도 비판하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김정욱 민주노총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사무국장은 지난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상균 전 위원장으로부터 받은 편지를 공개했다.
한상균 전 위원장이 손으로 쓴 4장짜리 편지에는 사면에서 제외된 뒤의 심경과 앞으로 노동 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이 담겼다.
한상균 전 위원장은 “사면 관련 뉴스를 보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사면을) 기대도 하지 않았었고, (정부의) 결정에 대해 조금도 비판하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노동자를 적으로 규정하고, 노골적인 탄압을 자행하던 박근혜 정권에 맞서 투쟁의 앞자리에 서는 것은 민주노총 위원장의 당연한 책무”라면서 “공포를 확장시켜 노동자 민중의 분노를 잠재우려 했지만, 우리는 무릎 꿇지 않고 싸운 것”이라고 했다.
또 “징역을 몇 년 사느냐의 문제는 사치스런 감상일 뿐이었고, 결국 노동자 민중을 짓밟았던 박근혜 정권은 탄핵 구속되었다”면서 “이렇게 빨리 올 줄은 몰랐지만 노동자 민중의 분노는 폭발했다”고 밝혔다. 이어 “(감옥에 있어) 광장의 감동은 느끼지 못 했어도 담장 밖 세상은 경이롭게 느껴진 시간이었다”고 촛불 혁명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
그는 “이 순간부터 노동자를 가둔 감옥은 더 이상 감옥이 아닌 거라 생각했다”면서 “물리적으로 담장 안에 있느냐, 동지들 곁에 있느냐는 차이만 있을 뿐”이라고 전했다.
앞서 노동계와 시민단체들은 한상균 전 위원장을 ‘박근혜 정권 탄압의 희생자’로 규정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특별사면을 촉구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사면 기준에 맞지 않는다며 한상균 전 위원장을 제외했다. 서민·생계형 사범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였다.
한상균 전 위원장은 “문재인 정부를 탓할 필요도 없다”면서 “(문재인 정부가) 촛불정부라 자임하지만, 정권의 정체성은 노동자의 기대와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깨달으면 그 또한 진전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분노와 비판은 쉽지만, 가슴에 새기고 보란 듯이 실력을 키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노동 존중 세상을 노동자의 단결된 힘으로 이루지 못 한다면 신기루에 불과하다는 것을 잊지 말자”고 강조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의 편지.
연합뉴스 / 김정욱 쌍용차지부 사무국장 페이스북
연합뉴스 / 김정욱 쌍용차지부 사무국장 페이스북
김정욱 민주노총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사무국장은 지난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상균 전 위원장으로부터 받은 편지를 공개했다.
한상균 전 위원장이 손으로 쓴 4장짜리 편지에는 사면에서 제외된 뒤의 심경과 앞으로 노동 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이 담겼다.
한상균 전 위원장은 “사면 관련 뉴스를 보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사면을) 기대도 하지 않았었고, (정부의) 결정에 대해 조금도 비판하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노동자를 적으로 규정하고, 노골적인 탄압을 자행하던 박근혜 정권에 맞서 투쟁의 앞자리에 서는 것은 민주노총 위원장의 당연한 책무”라면서 “공포를 확장시켜 노동자 민중의 분노를 잠재우려 했지만, 우리는 무릎 꿇지 않고 싸운 것”이라고 했다.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의 편지.
김정욱 쌍용차지부 사무국장 페이스북
김정욱 쌍용차지부 사무국장 페이스북
그는 “이 순간부터 노동자를 가둔 감옥은 더 이상 감옥이 아닌 거라 생각했다”면서 “물리적으로 담장 안에 있느냐, 동지들 곁에 있느냐는 차이만 있을 뿐”이라고 전했다.
앞서 노동계와 시민단체들은 한상균 전 위원장을 ‘박근혜 정권 탄압의 희생자’로 규정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특별사면을 촉구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사면 기준에 맞지 않는다며 한상균 전 위원장을 제외했다. 서민·생계형 사범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였다.
한상균 전 위원장은 “문재인 정부를 탓할 필요도 없다”면서 “(문재인 정부가) 촛불정부라 자임하지만, 정권의 정체성은 노동자의 기대와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깨달으면 그 또한 진전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분노와 비판은 쉽지만, 가슴에 새기고 보란 듯이 실력을 키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노동 존중 세상을 노동자의 단결된 힘으로 이루지 못 한다면 신기루에 불과하다는 것을 잊지 말자”고 강조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