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성희롱상담실 이주용 심리전문가
성격·대인관계 등으로 상담 범위 확대망설이는 피해자들 위해 문턱 더 낮춰
‘상담은 자연스러운 일’ 분위기 만들어야
국회 성희롱 고충상담실 ‘공감’의 이주용 임상심리전문가가 14일 사무실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있다.
공감의 이주용 임상심리전문가는 14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11월 문을 연 뒤로 아직은 많은 분이 ‘저곳에 가서 이야기할 수 있을까’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상담실을 찾아온 누구든지 ‘공감’이 필요한 분들을 대신해 온 분일 수도 있다는 생각에 명함 여러 장을 챙겨 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정말 필요한 분들이 찾아올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공감은 정치권도 미투 운동의 예외가 되지 못하면서 국회사무처가 성희롱·성폭력 전문 상담사 1명을 채용해 연 곳이다. 지난 10년간 국가기관과 대기업에서 상담실장으로 일해왔던 이 상담사는 공감을 상담이 꼭 필요한 사람들이 발걸음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상담의 범위를 성희롱·성폭력뿐 아니라 대인관계·성격·마음건강으로 넓혔다.
그는 “성적인 부분과 관련해 피해를 당해 문을 두드리기까지는 굉장히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며 “공감은 성폭력·성희롱 피해자만 이용하는 공간이 아닌 다양한 문제로 고민하는 분들이 찾을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편안하게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면 정말 도움이 필요한 누군가는 문을 두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직장 내 심리 상담 센터의 장점은 상담사가 업무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상담사는 “(내담자가) 무언가를 이야기했을 때 조직의 구조를 알기 때문에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며 “비교적 수직적일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남성과 여성 사이뿐 아니라 직위 고하 간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토로하고 의지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외부 상담소에 가려면 사전에 예약이 필요하고 비용이 드는데 공감은 복리 후생차원으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상담사는 “공감은 국회 안 직원 전체를 위한 공간이고, 상담실의 기본은 비밀 보장”이라며 “심리적인 문턱이 가장 중요하다. 자신도 용기를 내야 하고 옆에서 누군가가 가도 된다고 알려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했다.
글 사진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19-01-1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