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위치 몰라도 카메라로 주변 확인말하기 어려운 경우 ‘비밀 채팅’ 기능도개인정보보호 탓 ‘동의하기’ 3번은 까다로워범죄나 재해·재난 등 급박한 상황에 놓인 신고자가 112 신고를 했을 때 위치를 모르거나 말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럴 때 신고자의 휴대전화를 통해 현장 위치를 실시간 영상으로 확인한다면 위치 파악에 시간을 허비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도입한 게 ‘보이는 112 서비스’다. 실제 이 서비스가 실효성이 있는 것인지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다.
3일 임시번호를 받아 휴대전화로 112에 걸자 신고를 접수한 경찰관이 문자메시지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URL을 보내주겠다고 했다. 곧바로 문자가 도착했고 링크를 누르자 ‘동의 및 연결하기’ 버튼이 나왔다. 이어 ‘카메라 접근’에 대한 동의와 ‘위치 정보’ 접근에 대한 동의 등 총 세 번의 ‘동의하기’ 절차를 거쳐야 했다.
동의 절차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적 필수 요건이지만 긴급 상황에서 다소 까다롭게 느껴졌다. 경찰은 통신사 기지국에 요청해 발신자의 통화 위치를 역으로 추적해야 하는 기존 112 방식에 비해 ‘보이는 112’는 신고자의 동의를 얻어 곧바로 휴대전화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더 빠르고 정교하다고 설명했다.
보이는 112에 접속하자 경찰관과 실시간 채팅이 가능했다. 화면 위쪽 3분의 2 정도는 휴대전화 카메라에 잡히는 주변의 모습이 그대로 나타났고 경찰관도 함께 볼 수 있었다. 경찰관은 원격으로 카메라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화면 아래 쪽으로는 신고자의 위치가 지도로 나타났다.
신고자가 길을 잃었거나 낯선 곳에 떨어져 정확한 위치를 알기 어려울 때 1차적으로 위치정보시스템(GPS)으로 신고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휴대전화 카메라를 통해 주변 건물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육성으로 말하기 어려운 경우 문자로도 실시간 채팅이 가능했다. 이마저도 곤란한 경우엔 ‘비밀 채팅’으로 전환할 수 있었는데, 화면이 구글 검색창으로 바뀌어 이곳에 문자를 입력하면 경찰관 앞으로 전송되는 방식이었다.
다만 스마트워치와 마찬가지로 GPS 기술의 한계 때문에 실내에 있을 때엔 정확한 위치를 알기 어렵다는 맹점이 있었다. 기자가 이용했을 때에도 지도상 위치가 도로 건너편에 있는 것으로 찍혔다. GPS 오차 범위는 50m 이내로 5초마다 위치를 보정하는데, 실내에 있으면 휴대전화에 저장된 마지막 위치 정보가 뜬다고 했다. 경찰 관계자는 “기지국 정보만 있고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을 때 (신고자가)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출동 경찰관이 그 영상을 보면서 어느 골목, 무슨 건물인지 가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신고자가 URL 문자를 보이스피싱 등으로 오해하지 않도록 필요한 경우에만 발송하고, 서비스를 차츰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보이는 112
경찰청이 지난 1일부터 새롭게 도입한 ‘보이는 112’에 접속한 모습. 총 세 번의 ‘동의하기’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 화면이 나타난다. 신고자의 휴대전화 카메라에 찍히는 모습을 경찰관이 함께 보면서 문자로 실시간 채팅이 가능하다. 화면 아래쪽으로는 신고자의 휴대전화 위치가 잡힌다. ‘보이는 112’ 화면 캡처
동의 절차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적 필수 요건이지만 긴급 상황에서 다소 까다롭게 느껴졌다. 경찰은 통신사 기지국에 요청해 발신자의 통화 위치를 역으로 추적해야 하는 기존 112 방식에 비해 ‘보이는 112’는 신고자의 동의를 얻어 곧바로 휴대전화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더 빠르고 정교하다고 설명했다.
보이는 112에 접속하자 경찰관과 실시간 채팅이 가능했다. 화면 위쪽 3분의 2 정도는 휴대전화 카메라에 잡히는 주변의 모습이 그대로 나타났고 경찰관도 함께 볼 수 있었다. 경찰관은 원격으로 카메라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화면 아래 쪽으로는 신고자의 위치가 지도로 나타났다.
신고자가 길을 잃었거나 낯선 곳에 떨어져 정확한 위치를 알기 어려울 때 1차적으로 위치정보시스템(GPS)으로 신고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휴대전화 카메라를 통해 주변 건물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육성으로 말하기 어려운 경우 문자로도 실시간 채팅이 가능했다. 이마저도 곤란한 경우엔 ‘비밀 채팅’으로 전환할 수 있었는데, 화면이 구글 검색창으로 바뀌어 이곳에 문자를 입력하면 경찰관 앞으로 전송되는 방식이었다.
다만 스마트워치와 마찬가지로 GPS 기술의 한계 때문에 실내에 있을 때엔 정확한 위치를 알기 어렵다는 맹점이 있었다. 기자가 이용했을 때에도 지도상 위치가 도로 건너편에 있는 것으로 찍혔다. GPS 오차 범위는 50m 이내로 5초마다 위치를 보정하는데, 실내에 있으면 휴대전화에 저장된 마지막 위치 정보가 뜬다고 했다. 경찰 관계자는 “기지국 정보만 있고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을 때 (신고자가)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출동 경찰관이 그 영상을 보면서 어느 골목, 무슨 건물인지 가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보이는 112
112 신고자의 위치가 불명확할 때 경찰은 문자로 URL을 보내 신고자의 휴대전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신고자가 원할 경우 세 번의 ‘동의하기’를 눌러야 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