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양생 불량 정황
공정 빠른 ‘RCS’ 비·눈와도 공사
열풍 건조 등 안 하면 강도 약해져
‘철근 정착길이’ 부실 가능성도
“거푸집·철근 떨어졌다는 얘기 들어”
실종자 가족 “당국 아무것도 안 해”
갈기갈기 찢긴 외벽
광주 서구 화정현대아이파크 주상복합아파트 구조물 붕괴 이틀째를 맞은 12일 당국은 안전진단을 거쳐 실종자 수색 재개를 결정하기로 했다. 신축 공사 중인 이 아파트의 1개 동 옥상에서 전날 콘크리트 타설 중 28∼34층 외벽과 내부 구조물이 붕괴하면서 작업자 6명이 실종됐다. 사진은 이날 오전 사고 현장의 모습. 2022.1.12 연합뉴스
지하 4개층 공사가 길어지면서 지상층 공사가 늦게 시작됐음에도 11월 준공일을 맞추기 위해 무리한 공사를 진행했다는 것이다. 현장에선 ‘시간이 곧 비용’이란 생각에 기반해 1년 만에 38층, 닷새에 1층꼴로 아파트를 쌓아 올렸다는 목격담이 나왔다. 통상 콘크리트 양생은 7일마다 한 층씩 올리며 시공된다. 즉 정상적인 공사 과정을 거쳤다면 한꺼번에 16개 층이 무너지는 확률은 낮다는 얘기다.
화정아이파크 2블록에 타워크레인을 설치, 지상층 공사를 본격 시작한 시점은 2020년 12월로 계획보다 늦었다. 시공사는 레일 일체형 시스템(RCS·Rail Climbing System) 공법을 채택했는데 비나 눈이 오더라도 공정을 이어 갈 수 있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는 게 이 공법의 장점이다. 실제 강한 바람 속 눈이 내린 11일에도 작업을 진행, 도중 붕괴 사고라는 결과가 이어졌다.
국토교통부와 전문가들은 겨울철에는 낮은 기온 때문에 콘크리트가 잘 마르지 않아 열풍 등을 이용해 강하게 굳히는 양생 작업을 충분히 해야 하는데 공기를 단축하기 위해 양생 강도가 확연히 떨어졌을 수 있다고 의심했다. 이에 더해 고정 불량, 콘크리트 하중 작용, 강풍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사고를 일으켰을 것이란 진단도 나온다. 슬래브 하중을 견디는 ‘철근 정착길이’ 부실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시공사 측은 “공사 계획에 맞춰 공사가 진행됐으며 주말에는 마감공사 위주로 안전하게 공사를 진행했다. 충분한 양생을 거치지 않았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전날 사고 영상을 보면 38층부터 23층까지 도미노처럼 외벽이 무너진다. 30년 넘게 현장에서 일한 한 작업자는 “몇 층에 걸쳐 건물 외벽이 무너진 건 처음 본다”고 말했다. 실종자들은 60대 2명, 50대 4명으로 6명 중 3명은 창호, 2명은 설비, 1명은 조적 작업을 했다. 27층부터 32층 사이에서 소방설비 점검과 조적작업, 유리창 청소작업 등을 했다.
실종자 A씨의 장인은 “어떤 젊은 친구가 ‘중간에 거푸집이 떨어지고 철근도 떨어진다’고 몇 번 얘기를 해도 아무 조치가 없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했다. 사고 소식을 듣고 한달음에 달려와 천막에서 뜬눈으로 밤을 새운 실종자 가족은 날이 밝은 뒤까지 안전점검이 이어지며 수색이 지연되자 분통을 터뜨렸다. A씨의 장인은 “체육관을 운영하다 코로나19 때문에 현장 일을 하던 둘도 없는 우리 사위를 구해 달라”고 눈시울을 붉혔다. 오전 9시쯤엔 실종자 가족이 “저 안에 살아 있을 수도 있으니 스피커로 버티라고 하든지 불빛이라도 비춰야 하는데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022-01-1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